“정부, 가습기살균제 원료 유해성 알았다”…국가책임 인정될까

“정부, 가습기살균제 원료 유해성 알았다”…국가책임 인정될까

입력 2016-05-18 17:17
업데이트 2016-05-18 17: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노동부가 2007년 발표한 고시에 세퓨 원료 PGH 위험성 수록

가습기 살균제 ‘세퓨’가 유통되기 전부터 정부가 이 제품의 원료 성분인 염화에톡시에틸구아니딘(PGH) 성분의 위험성을 알고 있었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같은 사실이 피해자들이 낸 집단 소송에서 국가의 책임을 증명하는 증거로 인정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국제통상위원장인 송기호 변호사는 노동부(현 고용노동부)가 2007년 고시한 ‘화학물질의 명칭, 유해·위험성 및 조치사항’을 18일 공개했다.

공개된 고시는 1천100여개 신규화학물질의 위험성과 근로자 건강을 해치지 않기 위해 어떤 조치를취해야 하는지 담고 있다. 산업안전보건법 제40조 3항에 따라 유해성·위험성 조사보고서가 제출된 신규화학물질들을 공개한 것이다.

노동부는 고시에서 PGH를 ‘증기 등이 발생하는 장소에 국소배기장치 등 적절한 환기시설을 설치해야 한다’, ‘증기 등에 노출되는 작업에는 취급한 근로자가 호흡용 보호구 등 적절한 개인 보호구를 착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세퓨가 처음 유통되기 전부터 이미 원료 성분의 위험성을 알고도 피해를 막지 못했다는지적이 나온다.

세퓨는 2009년 버터플라이이펙트가 처음 제조했다. 출시 초에는 PGH를 원료로 썼지만 물량이 많아지자 옥시레킷벤키저(옥시)와 롯데마트 등의 가습기 살균제 원료 물질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PHMG)을 섞어 제조했다.

송 변호사는 “정부가 늦어도 2007년 PGH가 증기 상태로 노출되면 보호구 없이 흡입해선 안 된다는것을 알고 있었던 것”이라며 “국가책임의 직접적 증거”라고 지적했다.

피해자들의 소송을 대리하는 민변은 이같은 노동부 고시 내용을 향후 재판에 증거로 제출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피해자들과 가족 총 436명은 가습기 살균제 제조·판매업체 22개와 정부를 상대로 총 112억원을 청구하는 소송을 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