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들 “전직 환경부 장관 등 정부 관계자 검찰 고발”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들 “전직 환경부 장관 등 정부 관계자 검찰 고발”

허백윤 기자
허백윤 기자
입력 2016-05-22 17:08
업데이트 2016-05-22 17: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가습기살균제 피해자와 가족모임 법인 창립총회
가습기살균제 피해자와 가족모임 법인 창립총회 가습기살균제피해자와가족모임 주최로 22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2016 가습기살균제피해자및가족모임 법인창립총회에서 참석자들이 ‘가습기살균제 특별법을 제정하라.’등의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들이 제품의 유해성 심사를 제대로 하지 않은 정부의 책임을 묻기 위해 당시 환경부 장관 등을 검찰에 고발했다.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와 가족 모임은 23일 오전 11시 서울중앙지검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고발장을 제출할 계획이라고 22일 밝혔다.

고발 대상은 강현욱·김명자 전 환경부 장관과 가습기 살균제 성분들이 승인될 당시 환경부 환경보건관리과 국장·과장 등 실무진들이다.

피해자들은 정부가 법령에 따른 유해성 심사를 하지 않은 채 가습기 살균제 성분들을 사용하도록 승인하고 위험성이 확인된 뒤에도 방치한 혐의(업무상과실치사상)가 있다며 고발 배경을 설명했다.

이들은 고발장에서 옥시 등의 제품에서 사용한 PGH(염화에톡시에틸구아니딘)와 PHMG(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 뿐 아니라 CMIT(클로로메틸이소티아졸리논)와 MIT(메틸이소티아졸리논) 성분도 유해성 물질로 지목했다.

피해자들의 고발대리를 맡은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은 “정부는 가습기 살균제 성분의 용도나 노출 경로가 ‘흡입’임이 분명한데도 관련 자료를 전혀 받지 않은 채 유해성을 심사했다”고 주장했다.

한편 정부의 민사상 책임을 묻는 소송도 진행되고 있다.

피해자와 가족 총 436명은 16일 정부와 가습기 살균제 제조·판매업체 22곳을 상대로 총 112억여원을 청구하는 소송을 서울중앙지법에 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