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3개월간 여성범죄 특별치안 활동

경찰, 3개월간 여성범죄 특별치안 활동

이민영 기자
이민영 기자
입력 2016-05-23 16:20
업데이트 2016-05-23 16: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범죄예방진단팀 전국 확대 운영

 지난 17일 발생한 강남역 묻지마 살인사건에 대해 경찰이 3개월간 여성 범죄에 대한 특별치안 활동을 펼친다.

 강신명 경찰청장은 23일 “여성의 불안감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는 점에서 절대적으로 공감한다”며 “여성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여성이 불안감을 느끼는 부분에 대해 제보를 받고 순찰 활동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미지 확대
강신명 경찰청장. 사진=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강신명 경찰청장.
사진=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경찰은 다음달 1일부터 8월까지 3개월간 ‘여성 범죄 특별치안 활동’을 펼친다. 여성 입장에서 느끼는 범죄 취약 요소와 취약 인물에 대해서 스마트 국민제보 앱이나 경찰서에 신고하면 된다. 경찰은 현재 11개 경찰서에서 운영하고 있는 범죄예방진단팀을 전국으로 확대 운영한다. 강 청장은 “여성안심구역이나 여성안심 귀갓길 등에 경찰력을 투입해 집중 순찰 활동 하겠다”고 말했다.

 신변 위해를 느끼는 여성에게는 웨어러블 스마트워치를 지급한다. 스마트워치는 피해자가 긴급 상황에서 SOS 버튼 하나만 누르면 112 상황실에 즉각 신고가 되면서 위치 정보도 전송된다. 강 청장은 “현재 보유한 스마트워치 1000대에 1000대를 추가로 확보해서 위해 요인이 없어질 때까지 사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범죄를 일으킬 우려가 있는 정신질환자의 입원치료도 적극 추진한다. 강 청장은 “경찰관이 치안활동 중 정신질환으로 타인에게 해를 끼칠 우려가 있는 사람을 발견하면 정신병원을 거쳐 지방자치단체에 신청해 ‘행정입원’ 조치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경찰관이 정신질환자의 범죄 위험도를 객관적으로 진단할 체크리스트를 만들어 일선에 배포할 계획이다.

 강 청장은 이번 사건에 대해 여성 혐오 범죄로 보기 어렵다고 밝혔다. 강 청장은 “피의자는 실체가 없는 망상을 진술했는데, 결론적으로 혐오라는 것은 피의자의 의지가 반영돼야 한다”며 “프로파일러들의 분석에 동의한다”고 말했다.

 이민영 기자 min@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