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폐기로’ 자유전공학부…대다수 폐지속 이대 등 일부만 확대

‘존폐기로’ 자유전공학부…대다수 폐지속 이대 등 일부만 확대

입력 2016-06-13 07:18
업데이트 2016-06-13 07: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09년 서울대를 시작으로 주요 대학에 유행처럼 설립된 자유(율)전공학부들이 많은 대학에서 폐지되고, 일부 대학만 확대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13일 대학가에 따르면 최근 몇 년 새 본래 취지와 맞지 않게 운영된다는 이유로 많은 대학에서 자유전공학부가 폐지됐다.

자유전공학부는 로스쿨이 도입될 당시 법학과를 폐지하라는 정부 방침에 따라 기존 법학대학에 할당된 정원을 흡수하고자 신설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연세대, 성균관대, 한양대, 중앙대 등 서울 시내 주요 대학들은 대체 학부를 만들며 자유전공학부를 폐지했다.

전공 쏠림 현상 등 부작용이 나오면서 자유전공학부 운영을 접었다는 게 대학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경북대는 최근 프라임 사업을 추진하면서 자율전공 정원을 100명 축소하기도 했다.

한 대학 관계자는 “대부분 대학에서 많은 준비없이 자유전공학부를 급하게 만들었고, 학생들이 전공을 선택할 때 상경계 쏠림 현상이 나타났다”며 “정체성이 불분명하다는 문제도 지적돼 다른 학과를 신설하면서 폐지했다”고 설명했다.

아직 자유전공학부를 운영하는 다른 학교들의 경우 원래 취지에 맞지않게 학사 구조가 법학 관련 수업에 치중돼 있어 ‘예비 로스쿨’이 아니냐는 지적을 받는다.

고려대는 1학년 때 융합전공과정으로 법률적 기초 소양을 갖추도록 하고 있고 세종대 역시 ‘법과 사회’ 과정을 반드시 이수하도록 해 자유전공학부에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학생들 사이에서 나온다.

고려대 자유전공학부 학생 김모(24)씨는 “법학 필수과목을 4개 듣고 또 법, 경제, 행정 분야에서 8과목을 이수해야 해서 전공 선택 후 본 전공 말고 이중 전공은 할 수 없다”며 “법 지식을 쌓는다는 측면에서는 좋지만 학생 본인이 원하는 영역을 고를 수 있지는 않아 아쉽다”고 전했다.

반면 7년간의 운영 노하우를 기반으로 자유전공학부 역할을 확대하는 대학도 있다.

이화여대는 아예 2018학년도 입시부터 정시 모집 입학생 전원을 자유전공으로 선발하기로 했다. 학문 융·복합이라는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고 신입생들에게 전공 탐색 시간을 주는 등 긍정적 효과가 크다는 계산에서다.

서울대 역시 초기에는 학생들이 전공을 선택할 때 대부분 경영, 경제 등 상경계열로 쏠렸으나 교수진의 지도 끝에 최근에는 자연과학·공학계열, 설계전공 등 다양하게 선택하는 학생이 크게 늘었다. 설계전공은 행복학, 가상현실학, 인권학 등 학생 본인이 원하는 커리큘럼으로 개설하는 전공이다.

2009년 입학생 전체인원 151명 중 상경계열을 선택한 학생이 108명에 달했던 것에 비해 2013년 입학생은 163명 중 88명, 2014년 입학생은 162명 중 72명만이 상경계열을 선택했다.

또 문과 학생이 이과 전공을, 이과 학생이 문과 전공을 교차 선택하는 경우도 늘었다. 올해 4월 현재 전공을 선택한 재학생 700여명 중 22% 정도가 문·이과 전공을 복수로 전공하고 있다.

2018학년도부터 시행될 문·이과 통합과정은 자유전공학부를 유지하는 대학에게는 또 다른 도전이자 기회다.

서울대 자유전공학부 관계자는 “문·이과 통합교육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이 존재하지만, 자유전공학부 교육모델을 보면 통합교육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며 “문·이과 통합형 교과과정과 학생설계전공 개발에 더 박차를 가해 자유전공 모델 지속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