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 첫 출산 늦苦 아이 맡길 곳 없苦… 둘째, 포기합니다

엄마 첫 출산 늦苦 아이 맡길 곳 없苦… 둘째, 포기합니다

오달란 기자
오달란 기자
입력 2016-12-13 22:50
업데이트 2016-12-14 01: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희망 자녀 “2.3명”인데 현실은 1.24명… 이유는 ‘2중고’ 때문

지난해 첫아이를 출산하고 올 10월 복직한 공기업 직원 김모(34)씨는 만날 때마다 “둘째는 언제 가질 거냐”고 묻는 지인들에게 최근 ‘둘째 포기’를 선언했다. 신혼 초 두 살 터울로 두 아이를 낳는 가족계획을 세웠던 그가 추가 출산을 포기한 이유는 두 가지다. 첫째, 양육과 교육비를 감당할 자신이 없고 둘째, 맞벌이 딸 내외를 위해 첫애를 맡아 준 노모에게 폐를 더 끼칠 수 없다는 것 때문이다.

이미지 확대
통계청이 13일 발표한 ‘2016 일·가정 양립 지표’에 따르면 김씨와 비슷한 생각을 하는 ‘직장맘’이 적지 않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15~49세 기혼여성이 희망하는 평균 자녀 수는 2.3명이었다. 전년보다 0.1명 늘었다. 모든 연령층에서 ‘자녀 2명을 낳고 싶다’는 비중이 60~75%로 가장 컸다.

현실은 냉혹하다. 지난해 여성이 평생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합계출산율’은 1.24명에 그쳤다. 전년보다 겨우 0.03명 증가했다. 둘을 갖고 싶지만 하나밖에 낳을 수 없는 이유는 통계에서 드러난다.

대한민국에서 출산의 전제는 결혼이다. 그런데 취업난과 전세난 영향으로 결혼이 늦어진다. 자연스레 출산도 미뤄진다. 여성의 초혼 연령은 지난해 30.0세로 처음으로 30대에 진입했다. 첫째 출산 연령도 2010년 30.1세로 30세를 넘긴 이후 지난해 31.2세까지 높아졌다.

출산 다음 맞닥뜨리는 과제는 육아다. 아이를 맡길 곳이 마땅치 않다면 전업맘의 길을 선택해야 한다. 손이 많이 가는 어린아이일수록 더 그렇다. 6세 이하 자녀가 있는 가구의 맞벌이 비율은 38.1%로 전체 가구 평균(47.3%)을 크게 밑돈다. 30~39세 기혼여성의 고용률은 50.1%로 5년째 50% 근처에 머물고 있다.

자아실현과 생계, 교육비 마련 등을 위해 일하는 엄마는 오후 4시 반부터 오후 6시 반까지의 ‘보육 공백’이 두렵다. 지난해 0~5세 영유아의 보육기관(어린이집, 유치원 등) 하루 평균 이용 시간은 7시간 16분이었다. 엄마가 직장에 다니는 아이는 평균 7시간 56분을 기관에서 보낸다.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일하는 정규직 엄마라면 아이를 최소 9시간 맡겨야 하지만 그런 엄마는 전체의 20.7%에 불과하다.

결국 퇴근 전 2시간가량의 보육 공백을 양가 부모나 등·하원 도우미의 힘을 빌려 메운다. 또는 근로시간을 줄이기도 한다. 지난해 6세 이하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 중 여성의 근로시간은 주 35.6시간이었다. 같은 조건의 남성(47.0시간)보다 11.4시간 짧다. 근로시간 단축 등 유연근무제를 도입한 기업이 전체의 21.9%로, 2014년(29.9%)보다 후퇴한 점으로 미뤄 보면 어린 자녀를 둔 직장맘 상당수가 비정규직, 파트타임 등 질 낮은 일자리에 몰려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세종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16-12-14 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