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만 해병대… 민간 위탁시설

이름만 해병대… 민간 위탁시설

입력 2013-07-19 00:00
업데이트 2013-07-19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고 난 사설 해병캠프는

18일 오후 해상 훈련을 하던 5명의 학생이 실종된 사설 해병대 캠프는 민간 청소년 수련시설이다. 이름만 해병대 캠프일 뿐 실제로는 해병대와 아무런 관계가 없는 ‘짝퉁’ 캠프다.

이 캠프는 교관의 지도 아래 2박 3일 일정으로 기초 체력 훈련, 해상 래프팅, 해변 체험 등 극기 훈련을 하는 곳으로 유명하다. 특히 청소년들에게 단체 생활을 통해 공동체 의식을 키워 주고 도전정신과 불굴의 해병정신을 체득하게 해 준다는 소문이 돌면서 초·중·고등학교에서 여름방학 중에 단체로 참가하고 있다.

사고가 난 공주사대부고도 지난해부터 해병대 캠프를 교육 과정에 포함했으며 방학을 앞두고 2학년 학생 198명 전원이 사흘 일정으로 캠프에 참가하던 중이었다. 학교 관계자는 물론 훈련에 참가한 학생들도 사설 해병대 캠프의 진실을 알지 못했다. 공주사대부고의 한 관계자는 “해병대 훈련을 통해 학생들에게 강인한 정신을 길러주기 위해 캠프에 참여했다”며 “해병대 캠프라고 해서 해병대와 관계있는 곳이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사설 해병대 캠프는 전국에 20여곳이나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고가 난 캠프는 경기 성남에 있는 사설 법인이다. 김모 대표가 지난해 7월 이를 인수해 안면도에서 해병대 캠프를 운영했다. 이 업체는 전직 해병대 출신들이 운영하는 업체에 위탁해 해병대 캠프를 운영하고 있으나 안전사고에 대한 관리감독은 제대로 하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캠프가 열리는 곳은 주민들 사이에 “바다에 앉은 새 다리가 부러진다”는 얘기가 회자될 정도로 물살이 세다. 이 때문에 일부 주민은 사고 전날 제대로 된 안전관리자도 없는 것을 보고 캠프를 찾아가 “썰물 때만이라도 훈련을 자제해 달라”고 요구했으나 교관들은 듣는 둥 마는 둥 했다.

사고 직후 대처도 미흡했다. 자체적으로 수습하려고 허둥대다 실종 학생들을 찾지 못하자 뒤늦게 신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교관 등 운영기관 관계자들의 진술이 현장에 있던 학생들과 엇갈려 사고 은폐 의혹까지 제기되고 있다.

태안 이천열 기자 sky@seoul.co.kr

2013-07-19 10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