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약 이야기] 틱 약물 효과 보려면 행동치료·증상 기록 함께

[어린이 약 이야기] 틱 약물 효과 보려면 행동치료·증상 기록 함께

입력 2016-04-17 18:10
업데이트 2016-04-18 00: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신경 전달 조절하는 투렛 치료

이유 없이 소리를 지르거나 욕설을 하고 갑자기 이상한 행동을 하는 ‘투렛’ 장애는 드라마 등을 통해 일반에 알려지기 전까지 통제할 수 있는 버릇이나 습관으로 오해받기 일쑤였다.

투렛이라는 표현보다 좀더 익숙한 단어가 바로 ‘틱’이다. 갑작스럽고 반복적이며 목적 없는 근육의 움직임(운동틱)과 어떤 형태의 소리(음성틱)로 표시된다. 뇌의 신경화학적·기능적인 불균형, 유전적·환경적 요인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으로 이런 증상이 나타난다.

기간과 양상에 따라 일과성 틱장애, 만성 틱장애, 투렛 장애로 나뉜다.

일과성은 한 가지 또는 여러 가지 운동틱이나 음성틱이 적어도 4주 이상 거의 매일 나타나지만, 연속적으로 1년 이상 지속되지 않는 경우다. 1년 이상 틱 증상이 지속되는데 운동틱과 음성틱 중 한 가지만 나타난다면 만성 틱장애, 1년 이상 증상이 지속되면서 운동틱과 음성틱이 동시에 나타나면 투렛 장애로 분류한다. 일과성 틱장애는 보통 아동기나 이른 청소년기, 투렛 장애는 7세쯤에 시작된다. 틱장애는 사춘기 초기에 가장 심했다가 점차 줄지만 투렛 장애는 상당 부분 일생에 걸쳐 지속된다.

틱장애엔 약물치료가 가장 효과적이다. 약물로 허가된 성분은 ‘할로페리돌’과 ‘아리피프라졸’이 있다. 뇌 신경전달경로 이상을 조절하는 약물이다. 할로페리돌은 도파민 수용체를 억제하고 아리피프라졸은 도파민과 세로토닌 수용체에 작용해 증상을 호전시킨다. 증상의 중등도에 따라 투여 용량과 기간을 조절한다.

틱 증상은 아이 스스로 인지하지 못하므로 부모가 약물치료 중 아이의 행동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새로운 증상이 나타나거나 사라지지 않는지 기록해 의사와 상담해야 한다.

또 약물치료와 행동치료를 병행해 아이 스스로 증상을 억제하거나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테면 코를 킁킁거리는 음성틱을 기침 소리로 바꾸는 교정훈련을 한다. 아이를 혼내고 자주 지적하면 증상이 악화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나무라기보다 마음을 편하게 가지도록 도와준다.

■도움말 식품의약품안전처
2016-04-18 2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