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 비자금 수사] 롯데쇼핑과 작년 내부거래 30% 폭증… ‘정보통신’으로 비자금 흘렀나

[롯데 비자금 수사] 롯데쇼핑과 작년 내부거래 30% 폭증… ‘정보통신’으로 비자금 흘렀나

조용철 기자
입력 2016-06-16 23:06
업데이트 2016-06-17 02: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67억 늘어… 평소 年70억대↑

총수일가 지분 보유 상당해 주목

검찰이 롯데그룹 비자금 조성의 한 축으로 롯데정보통신을 지목한 가운데, 롯데정보통신이 2015년 롯데쇼핑과의 내부거래를 통해 얻은 매출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석연찮은 매출의 일부가 비자금으로 흘러들어간 것 아니냐는 의혹이 나온다.

롯데정보통신은 매출의 80% 안팎을 내부거래를 통해 벌어들여 계열사 중에서도 ‘일감 몰아주기’가 가장 심한 곳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지난 10일 롯데정보통신을 압수수색한 바 있다. 전산시스템 운영 및 관리를 주 사업으로 하는 롯데정보통신은 롯데그룹 계열사들의 전산 정보 관리도 도맡아 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이 공시한 롯데정보통신의 2015년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롯데정보통신은 롯데쇼핑과의 내부거래를 통해 총 1318억여원의 매출을 올렸다. 이는 2014년의 951억여원과 비교해 30%가 넘는 367억원이 증가한 수치다. 롯데정보통신의 경우 롯데쇼핑과의 거래를 통해 매년 70억~80억원씩 매출을 늘려오고 있었지만, 이보다 5배 남짓 되는 지난해 매출 증가 규모는 이례적이다.

이 밖에도 롯데 계열사인 우리홈쇼핑과는 90억원이 늘어난 268억원, 호텔롯데와의 거래에서도 39억원이 늘어난 454억원의 매출을 신고했다. 업계 관계자는 “대기업의 시스템통합(SI) 업체들이 내부거래가 많은 편이지만, 롯데정보통신처럼 80%를 상회하는 곳은 드물다”고 말했다.

특히 롯데정보통신은 호텔롯데처럼 지배구조의 정점에 있지는 않지만, 롯데그룹 일가가 지분을 상당수 소유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주목할 만하다. 롯데정보통신은 현재 롯데리아(34.53%), 대홍기획(28.50%)에 이어 신격호(94) 총괄회장이 10.45%의 지분을 가지고 있다. 신동빈(61) 회장의 6.82%, 신동주(62) 전 일본 롯데홀딩스 부회장 3.99%, 신영자(74) 롯데장학재단 이사장의 3.51%를 합치면 24%가 넘는다.

이 가운데 신 총괄회장이 보유한 지분은 스위스 소재 페이퍼컴퍼니인 로베스트 아게(Lovest AG)가 갖고 있었으나, 올해 2월 공정거래위원회가 신 총괄회장이 로베스트 아게를 실질 지배하고 있다고 판단하면서 지분 보유자가 변경되기도 했다.

앞서 검찰은 롯데그룹 계열사 총수나 대주주가 지배하고 있는 회사에 대한 일감 몰아주기라는 특혜를 통한 배임 구조를 살핀 후, 계열사의 부외자금이 그룹 고위층으로 흘러갔는지를 수사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조용철 기자 cyc0305@seoul.co.kr
2016-06-17 5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