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가빴던 3개월…벼랑 끝 기사회생한 레슬링

숨가빴던 3개월…벼랑 끝 기사회생한 레슬링

입력 2013-05-30 00:00
업데이트 2013-05-30 04: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대 올림픽부터 치러진 레슬링이라는 종목의 기나긴 역사상 가장 숨가쁘게 지나간 3개월이었다.

레슬링이 30일(이하 한국시간)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집행위원회에서 2020년 하계올림픽 정식 종목의 후보 3개중 하나로 선정되면서 잔류 가능성을 보였다.

올해 2월 12일 전 세계 레슬링인들은 날벼락같은 소식에 할 말을 잃었다.

IOC 집행위원회에서 레슬링을 하계올림픽 핵심종목에서 제외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고대 올림픽에서도 5종 경기 중 하나로 치러졌고, 근대 올림픽의 1회 대회부터 채택된 유서 깊은 종목이라는 자부심을 가슴에 품고 살아가던 이들에게는 상상할 수조차 없던 일이었다.

그런 상징성을 믿고 상업화의 바람 속에서도 IOC의 개혁 요구를 묵살한 채 수수방관하던 안일한 대응이 낳은 참사이기도 했다.

예상치 못한 일인 만큼 후폭풍도 거셌다.

지난 3개월 동안 전 세계 팬들은 유례없이 다양한 변화를 거듭한 레슬링의 색다른 모습을 지켜볼 수 있었다.

먼저 10년 넘게 장기집권해 오던 세계 레슬링 수장의 목이 날아갔다.

2002년부터 종목을 이끌어 온 라파엘 마르티네티 국제레슬링연맹(FILA) 회장은 이런 중대한 위기가 닥쳤다는 것을 발표 직전까지 눈치조차 채지 못하고 있던 무능의 책임을 지고 나흘 만에 물러났다.

세르비아 출신 네나드 라로비치 회장에게 새로 지휘봉을 맡긴 FILA는 이후 기민한 개혁 작업과 치열한 로비전에 돌입했다.

’레슬링의 전설’ 알렉산더 카렐린(러시아) 등 과거의 스타들이 FILA와 공조해 스포츠 외교의 현장에 뛰어들었다.

국내에서는 대한레슬링협회가 이런 움직임에 작은 탄력이나마 더하고자 서명운동을 벌이고 결의대회를 여는 등 힘을 모았다.

FILA는 IOC 집행위원회를 열흘 앞둔 19일 특별 총회에서 개혁안을 발표해 숨가쁘던 움직임의 절정을 장식했다.

여성 부회장직을 신설해 양성평등을 구현하고 세트제를 폐지하는 한편 패시브 제도를 개선하는 등 IOC의 요구를 충실히 반영하려 노력했다.

이런 변화에 자크 로게 IOC 위원장도 공개적으로 칭찬하는 등 FILA는 3개월 만에 여론을 획기적으로 바꾸는 데 성공했다.

집행위가 열리기 전부터 주변에서는 “레슬링·스쿼시·가라테가 후보로 추려져 9월 총회에 상정될 것”이라는 설이 흘러다니기 시작했다.

이는 그만큼 IOC의 분위기도 우호적으로 변화했음을 방증하는 것으로 해석할 만했다.

이미 집행위원들에게서 불합격 판정을 받은 셈이라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라는 회의적인 시각도 많았다.

대한체육회 박용성 전 회장은 2월 이임식에서 “퇴출 결정을 내린 IOC 집행위원회 멤버가 변화가 없는데 그들이 내린 결정을 3개월 뒤에 뒤집는다는 것은 코미디”라며 부정적인 견해를 드러내기도 했다.

하지만 3개월 전 퇴출 결정을 내린 IOC 집행위원들에게 정반대의 결론을 받아내면서 레슬링에도 새로운 희망의 문이 열렸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