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분이나 걸린 계좌 차단… 유령주식 501만주 이미 팔려

37분이나 걸린 계좌 차단… 유령주식 501만주 이미 팔려

이두걸 기자
이두걸 기자
입력 2018-04-10 02:00
업데이트 2018-04-10 02: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골든타임 놓친 삼성증권 배당착오

‘1원 대신 1株’ 하루 동안 몰라
입고 직후 오류 인지해 사내 경고
애널 포함 16명 나몰라라 매도
金부총리 “유사사례 점검할 것”
이미지 확대
지난 6일 벌어진 삼성증권 배당 착오 사태와 관련해 삼성증권이 배당 입력 오류를 하루 동안 발견하지 못했고, 사고 발생 직후 주문을 차단하는 데에도 무려 37분이나 소요된 것으로 드러났다. 삼성증권이 내부 통제에 허점을 드러내는 것으로도 모자라 늑장 대응을 하면서 피해를 최소화할 ‘골든타임’을 놓쳤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또 당시 16명의 직원들은 회사가 세 차례나 ‘주식이 잘못 입고됐으니 팔지 말라’고 공지했지만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유령주식’을 팔아 치운 것으로 밝혀졌다.

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삼성증권 배당 담당 직원은 지난 5일 주식배당을 ‘원’ 대신 ‘주’(株)로 잘못 입력했고 결재자인 팀장은 이를 확인하지 않은 채 승인했다. 다음날(6일) 오전까지도 오류는 발견되지 않았다.

해당 담당자는 6일 오전 9시 30분 회사 주식 28억 1000만주가 직원들에게 잘못 입고된 지 1분 뒤에 착오를 인지했다. 하지만 잘못을 발견하고 37분이나 지난 10시 8분이 돼서야 시스템상에서 임직원의 전 계좌 주문 정지 조치가 내려졌다. 금융투자 업무가 초 단위로 진행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해하기 힘든 ‘늑장’ 대응이 이뤄진 셈이다.

여기에 삼성증권은 6일 오전 9시 45분 착오 주식 매도금지를 사내에 공지했다. 9시 51분에는 전 직원이 볼 수 있는 사내망을 통해 ‘직원계좌 매도금지’ 긴급 팝업을 공지한 뒤, 5분 단위로 두 차례 더 팝업창을 띄웠다. 그러나 문제의 직원들은 이를 무시한 채 오전 9시 35분부터 10시 5분까지 501만주를 팔아치웠다. 주식을 매도한 직원 중에는 금융소비자의 올바른 투자를 돕는 애널리스트도 포함됐다.

금감원은 이날 삼성증권 결제이행 과정에 대한 특별점검에 착수하고 11~19일 투자자 보호 및 주식거래시스템의 안정을 위해 현장검사를 할 예정이다.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내부 시스템 문제, 무차입 공매도 유사 사례가 있는지에 대한 제도적 점검, 증권사 직원의 모럴 해저드(도덕적 해이)를 반드시 짚어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두걸 기자 douzirl@seoul.co.kr

조용철 기자 cyc0305@seoul.co.kr
2018-04-10 1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