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등산객 조난’ 일본 중앙알프스 어떤 곳이길래

‘한국인 등산객 조난’ 일본 중앙알프스 어떤 곳이길래

입력 2013-07-30 00:00
업데이트 2013-07-30 09: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인 등산객 2명이 사망하고 3명이 실종된 조난사고가 발생한 일본의 ‘중앙알프스’는 나가노(長野)현에 위치한 기소(木曾) 산맥의 고산들을 가리킨다.

’일본 알프스’라는 이름은 영국인 선교사 W.웨스턴이 히다산맥과 아카이시산맥의 여러 산에 등산을 한 뒤 ‘일본 알프스의 등산과 탐험’이라는 책을 출판하면서 널리 알려지게 됐다.

일본에서는 통상 나가노현을 중심으로 히다산맥을 북알프스, 기소산맥을 중앙알프스, 아카이시산맥을 남알프스로 부르고 있다. 세 산맥이 모두 3000m 이상의 고봉들을 이루고 있는데 그 수가 모두 26개에 달해 일본 최고(最高)의 산악지대다.

이 가운데 중앙알프스는 길이가 65km에 달하고 너비는 15km에 이른다. 가장 높은 지점은 나가노현에 있는 높이 2956m의 기소코마 산이고 다음으로 쇼기카시라산(2956m), 교산(2296m), 호켄다케산(2931m) 등이 있다.

특히 이번 사고를 당한 한국인 단체 등반객들이 등반에 나선 것으로 알려진 호켄다케는 해발 2931m로 중앙알프스를 대표하는 고산이다.

고산식물 꽃밭으로 유명해져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힐링 트레킹 코스 등으로 알려져 인기를 끌었다. 하지만 험한 암봉이 많아 낙상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곳이기도 하다.

지난 28일 한국인 단체 등산객 20명은 나가노현 고마가네시의 이케야마에서 등반을 시작해 중앙알프스의 우쓰디다케(2864m)를 거쳐 중간의 한 산장에서 1박을 한 뒤 29일 아침 6시쯤 그룹으로 나눠 히노키오다케(2728m)를 거쳐 호켄다케의 호켄산장을 출발했지만 일행 중 8명만 예정된 산장에 도착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