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1천300㎞ 떨어진 시설 세계유산 일괄 추천…침탈역사 물타나

日 1천300㎞ 떨어진 시설 세계유산 일괄 추천…침탈역사 물타나

입력 2015-05-05 10:21
업데이트 2015-05-05 10: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850∼1910년으로 기간 한정해 추천, 조선인 징용 비판 피하려 한 듯

일제 강점기 조선인 징용현장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가 유력해진 가운데 일본 정부가 전국 8개 현(縣)에 흩어진 23개 시설을 하나로 묶어 추천한 점이 눈에 띈다.

일본 정부가 추천한 시설물에 포함된 나가사키(長崎) 항 앞바다에 있는 하시마(端島) 탄광(일명 군함도)과 이와테(岩手)현의 하시노(橋野)철광산·고로 유적은 직선거리로 약 1천300㎞ 떨어져 있다.

거리만으로 생각한다면 거의 한반도 전체가 포함될 정도로 광범위한 영역에 있는 유산을 하나로 묶어 추천한 것으로 매우 이례적이다.

실제로 일본 내각관방의 담당자는 기자회견에서 “이 정도로 본격적인 ‘시리얼 노미네이션’(serial nomination, 일괄 추천)에 의한 추천은 처음이 아니겠냐”는 언급을 했다고 마이니치(每日)신문이 5일 보도했다.

일본 정부는 일괄 추천 이유에 관해 일련의 유산을 함께 살펴야 그 가치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다는 인식을 내비치고 있다.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닛케이)에 따르면 일본 정부 측은 “전체가 하나의 산업유산 집합체로서 보편적 가치가 있다”는 설명을 내놓았다.

일본 주요 언론은 시리얼 노미네이션이 제대로 효과를 발휘했다고 평가하며 작년에 세계 유산이 1천 건을 넘기자 유네스코 측이 일괄 추천을 선호했다는 분석을 제시했다.

그러나 일괄 추천은 ‘지옥도’라고 불릴 정도로 혹독한 노동을 강요한 하시마 탄광 등의 조선인 착취·희생 문제를 희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에 조선인 강제 동원에 관련된 시설 7개에 대해 세계 유산 등록 권고가 내려졌는데 전체 유산이 23개에 달하므로 징용 관련 문제는 일부의 문제로 간주됐을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일본 정부는 23개 시설에 관해 자국이 1850년대부터 1910년까지 서양 기술을 전통문화와 융합해 산업 국가를 형성한 궤적을 보여준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일본으로서는 기간을 한일병합조약을 체결한 1910년까지로 한정했기 때문에 이후의 징용 노동에 관해서는 언급할 필요가 없어진 셈이며 이는 비판과 논란을 피하려는 계산에 따른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일본 언론은 세계유산 등록 권고를 일본의 기술혁신이나 근대화 과정이 국제 사회에서 평가받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시각에서 접근하고 있다.

또 이와테현 등 동일본대지진 피해 지역에는 세계유산 등록이 지역 관광산업을 활성화하고 부흥으로 이어지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표현하고 있다.

한국이 반발하고 있다고 보도한 일본 신문도 있으나 작게 취급하거나 걸림돌이 될 수 있으나 등록이 완결될 때까지 방심해서는 안 된다는 시각을 표출했다.

한국 정부는 ‘강제 노동이 자행됐다는 역사적 사실을 외면한 채 산업혁명 시설로만 미화해 세계 유산으로 등재한다는 것에 반대한다’며 유네스코 측에 한국의 입장을 강하게 설명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죄가 빠진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미국 의회 연설 등으로 촉발된 한국과 일본 간의 역사 인식 논쟁이 유네스코를 무대로 다시 가열될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는 입장을,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를 통해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