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응급 환자는 어디로 갔을까

조선시대 응급 환자는 어디로 갔을까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4-11-12 02:27
수정 2024-11-12 07:1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학진흥원 웹진 ‘조선 의학’ 특집

이미지 확대
18세기 중반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한양도’에서 보이는 ‘보제원’(오른쪽 붉은 칸)  서울역사박물관 제공
18세기 중반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한양도’에서 보이는 ‘보제원’(오른쪽 붉은 칸)

서울역사박물관 제공


연초에 시작된 의료대란은 여전히 수습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이런 현실을 보면 문득 과거 조선시대 의료는 어떻게 운영됐을지 궁금해진다. 때맞춰 한국국학진흥원에서 발행한 웹진 ‘담談’ 11월호는 ‘활인(活人), 사람을 살리는 기술: 조선시대 의학 체계’라는 주제를 특집으로 다뤘다.

●천 년의 전통 의료 이어 간 ‘보제원’

김호산 서울한방진흥센터 센터장은 ‘천 년을 이어 온 보제원의 의료 전통’이라는 글에서 보제원을 통해 전통 의료가 어떻게 시작됐는지 설명한다. 원시시대에는 무당이 치료를 담당했지만, 삼국시대에는 불교와 함께 당시 선진 치료법인 불교 의학이 들어왔다. 특히 고려시대에는 읍내에 설치된 ‘자복사’라는 사찰이 의료시설로도 활용됐다. 숭유억불 정책을 펼친 조선시대에는 대부분의 자복사가 사라지고, 동대문 밖에 의료시설로서의 기능만 남겨진 ‘보제원’이 설치됐다. 보제원은 병세가 없거나 심하지 않은 백성을 치료하는 공공의료기관으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가 일제강점기에 사라졌다.

●최초의 지방 공립 병원 ‘제민루’

국학진흥원 이복순 연구원의 ‘각자도생의 시대! 조선의 지방 공립 병원, 제민루에 올라’라는 글에서는 조선시대의 공공의료와 지방 의료가 어떻게 이뤄졌는지를 보여 준다. 의료대란 이전부터 2차, 3차 종합병원 대부분이 수도권에 집중돼 있어 의료 불균형에 대한 지적이 계속됐다. 조선시대도 크게 다르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에서도 “근년 이래로 돌림병이 대단히 성하여서 1년 동안 사망한 것과 구제된 수효를 상고해 보면 서울 활인원에서는 살아난 사람이 열에 여덟아홉은 되는데 외방에서는 한 도에서만도 사망한 자가 거의 사천 명이나 되니 어찌하여 서울과 외방이 이같이 서로 다른가”라는 기록을 찾아볼 수 있다.

그러다가 세종 15년인 1433년에 경북 영주 군수가 우리나라 최초의 공립 지방 병원인 ‘제민루’를 세웠다. 제민루는 ‘어려움을 당하면 서로 돕는다’는 ‘환난상휼’(患難相恤)의 실천과 자신의 본마음을 밝혀 그것을 실천하는 이상적 인간이 되고자 하는 유학 ‘위기지학’(爲己之學)의 공적 실천법이었다고 한다. 편집위원장인 공병훈 협성대 교수는 “법고창신(法古創新)이라는 말처럼 앞이 보이지 않는 복잡한 상황에서 전통을 살펴 성찰하고 내일을 위한 가치를 찾는 것이 중요한 시기”라고 강조했다.
2024-11-1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