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설의 화가, 찬란한 귀향

전설의 화가, 찬란한 귀향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입력 2024-11-12 02:27
수정 2024-11-12 02: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남 고흥서 ‘천경자 100주년 특별전’… 예술 총감독으로 나선 둘째 딸 수미타 김

천경자 “그림이 팔릴 때마다
꼭 딸 시집보내는 것 같아”

두 달간 흩어진 작품 찾아
전국 돌며 소장자 설득
70년 세월, 7개 섹션 160점
“골목골목, 어머니 만난 기분”
이미지 확대
11일 전남 고흥분청문화박물관에서 개막한 ‘찬란한 전설, 천경자 탄생 100주년 기념 특별전’에서 한 관람객이 천 화백의 사진이 붙어 있는 벽을 바라보고 있다.
11일 전남 고흥분청문화박물관에서 개막한 ‘찬란한 전설, 천경자 탄생 100주년 기념 특별전’에서 한 관람객이 천 화백의 사진이 붙어 있는 벽을 바라보고 있다.


“그림이 팔릴 때마다 ‘꼭 딸 시집보내는 것 같다’던 어머니를 생각하며 흩어진 작품들을 그러모았죠.”

타협을 몰랐던 예술가이자 ‘나답게’ 살 수밖에 없었던 사람이던 천경자(1924~2015) 화백의 탄생 100주년을 맞아 그의 둘째 딸 수미타 김(70·한국명 김정희) 미국 몽고메리칼리지 미술과 교수는 학교도 휴직한 채 지난 두 달 동안 어머니 작품의 소장자들을 직접 찾아다녔다. 천 화백의 고향인 전남 고흥군에서 어머니의 단독 전시를 기획한다는 소식에 예술 총감독을 도맡았기 때문이다. 김 교수는 전국을 돌며 작품을 빌리기 위해 소장자를 설득했다. 김 교수는 “그림을 찾아다니고 소장자를 만나러 간 골목골목이 어머니를 만나는 기분이었다”고 전했다.

그 결실이 11일 고흥분청문화박물관에서 막을 올린 ‘찬란한 전설, 천경자 탄생 100주년 기념 특별전’이다. 전시는 오는 12월 31일까지 계속된다.

이미지 확대
천 화백의 차녀인 수미타 김 미국 몽고메리칼리지 미술과 교수가 관람객들에게 작품 ‘정’(1955)에 대해 설명하는 모습.
천 화백의 차녀인 수미타 김 미국 몽고메리칼리지 미술과 교수가 관람객들에게 작품 ‘정’(1955)에 대해 설명하는 모습.


이번 전시는 채색화 29점, 드로잉 23점, 담채화 6점, 사진, 친필 편지를 포함한 아카이브 100여점 등 모두 160점으로 구성됐다. 주요 작품으로는 ‘탱고가 흐르는 황혼’을 비롯해 ‘만선’, ‘화혼’, ‘굴비를 든 남자’, ‘길례언니II’, ‘정’ 등이 전시됐다.

창작의 모태가 된 고흥에서의 추억부터 고난과 불행이 겹쳤던 1950년대 광주 시절, 작가가 처음 화실을 갖게 됐던 서울 종로구 옥인동 시절, 프랑스 파리 정착 등 모두 7개의 섹션을 따라가다 보면 천 화백의 화풍 변화와 그의 인생을 곱씹게 된다. 무엇보다 70여년의 세월을 그림 작업에 바치며 타협할 줄 몰랐던 예술가로서의 진정성, 시대의 고달픔 속에서도 사랑·꿈 등을 원동력 삼아 주체적인 여성으로 살았던 그의 용기가 화폭에 고스란히 담겼다.

김 교수는 “화가 천경자는 독창적인 화풍과 솔직한 글, 그리고 용기 있는 삶으로 수많은 사람의 가슴에 감동의 물결을 일으킨 선구자적 예술가”라며 “이번에 준비한 전시들은 그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그리움과 아쉬움에 대한 응답”이라고 말했다.

다만 이번 전시에서 아쉬운 지점은 천 화백이 생전 서울시립미술관에 기증했던 작품 93점이 모두 빠졌다는 점이다.

김 교수는 “시립미술관 전시와 고흥 전시의 기간이 일부 겹치는 데다 (시립미술관 측으로부터) 유가족 전체가 동의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작품 대여가 어렵다는 답을 들었다”며 “어머니가 대중과 나누고자 기증을 결정한 만큼 앞으로는 지역에 있는 관람객도 향유할 수 있도록 (전시가) 허락되면 좋겠다”고 했다.

이날 전시와 함께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김 교수는 끝나지 않은 ‘미인도’ 위작 시비에 대해 언급해 눈길을 끌었다. 앞서 천 화백은 1991년 국립현대미술관이 소장한 ‘미인도’에 대해 자신이 그린 작품이 아니라고 하면서 위작 논란이 불거진 바 있다.

김 교수는 “팔렸던 작품을 되찾아 올 정도로 자기 작품에 대한 애정이 강했던 어머니였기 때문에 자기 작품을 몰라본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한편 고흥군은 이번 전시를 계기로 천경자 기념관 건립 의사를 밝혔다.
2024-11-12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