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김일성에게 갈 뻔한 명작, 사진만 보고 샀다… ‘이건희 컬렉션’의 내막

김일성에게 갈 뻔한 명작, 사진만 보고 샀다… ‘이건희 컬렉션’의 내막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입력 2023-11-30 17:53
업데이트 2023-12-01 01: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종선 관장이 말하는 이건희 컬렉션/이종선 지음/김영사/384쪽/3만 3800원

이미지 확대
백자 달항아리
백자 달항아리
‘세기의 기증’ 이건희 컬렉션은 한국 근현대 미술사를 새로 썼다. 미술관에 한번도 가 보지 않은 사람까지 전시장으로 끌어들여 2021년 기증 이후 200만명에 가까운 인파를 모으면서 전국적으로 미술 관람 문화를 확산시켰다. 개인 소장가나 작가의 유족 등이 미술품을 기증하는 사례가 이어지며 기증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기증을 실천하는 문화를 촉진하기도 했다.

전국 순회 전시에 이어 2025년 하반기부터는 미국과 영국 미술관으로 진출하며 세계 관람객과 교감할 준비가 한창인 이건희 컬렉션. 그 전모와 내막에 한걸음 더 깊이 들어가게 해 주는 책이 나왔다.

1976년 삼성문화재단에 합류해 20여년간 컬렉션의 수집과 미술관 건립을 이끈 이종선 전 호암미술관 부관장(전 서울역사박물관 초대 관장이자 경기도박물관 관장). 고 이건희 삼성 선대 회장의 명작 수집에 얽힌 비화를 가장 속속들이 꿰고 있는 그가 곁에서 본 ‘수집가로서의 이건희’의 명쾌하고 빠른 결단력과 작품에 대한 애정, 취향 등을 통해 컬렉션의 가치를 재조명했다. 고미술부터 한국 근현대미술, 해외 명작까지 이건희 컬렉션의 대표 수집품 69점에 깃든 사연과 수집 과정 일화 등을 통해 수집품의 의미를 총체적으로 다시 살핀다.
이미지 확대
2만 3000여점의 대규모 기증품 가운데 국보와 보물만 60건에 이를 정도로 이건희 컬렉션은 ‘초일류’를 고집스럽게 지향하고 관철해 나갔다. 명품이라도 비싼 작품은 두 번 다시 눈길을 주지 않았던 이병철 창업회장과 달리 이 선대 회장은 ‘좋은 물건’이라면 값을 따지지 않은 채 빠르게 결정하고 사들여 ‘특급 명품’이 집약될 수 있었다고 저자는 말한다.

국보급 유물을 집중적으로 모으겠다는 ‘국보 100점 프로젝트’는 1등 철학으로 삼성의 도약을 일궜듯 컬렉션도 초일류로 완성하고자 했던 수집가 이건희의 면모를 압축하는 예다. 상대적으로 중국 미술에 관심이 덜했던 부분은 아쉬움으로 남는다고 회고한다. 냉정해 보이는 외면과 달리 속정이 깊어 미술계나 학계 인사가 어려운 상황에 처했다는 이야기를 들으면 전후 사정을 묻지도 않고 나서서 해결해 줬다는 일화도 전한다.
이미지 확대
이암 ‘화조구자도’
이암 ‘화조구자도’
조선 초기 화가 이암(1499~?)의 ‘화조구자도’를 손에 넣은 일화는 이 선대 회장의 추진력을 잘 보여 준다. 1980년대 후반 일본에 있다가 북쪽으로 넘어가 ‘김일성 컬렉션’이 될 뻔했던 이 작품을 급박하게 환수할 수 있었던 것은 현물도 아닌 사진만 보고 결정을 내린 이 선대 회장의 빠른 판단 때문이었다는 것이다.

가야 금관과 청자를 지극히 아꼈던 부친과 달리 30대부터 백자를 수집하며 감정할 수 있는 수준까지 오른 그의 취향에 대해서는 말수 적은 성정이 덤덤한 백자와 잘 맞아떨어진 것이라는 해석도 내놓는다.

미술계에서 이건희 컬렉션을 활용해 국립근대미술관을 세워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가운데 저자는 ‘이건희미술관’은 기증품 모두를 모으는 통합형 미술관으로 지어 미래의 기증을 유도하는 계기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송현동 부지는 경사진 대지, 단체 관람객이 이용하는 대형 버스 주차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미술관 건축지로 적합하지 못하다며 용산가족공원 내 국립중앙박물관 근처로 계획을 수정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한다.
정서린 기자
2023-12-01 1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