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무성의로 무산” vs 野 “한발짝씩 양보해야”

與 “무성의로 무산” vs 野 “한발짝씩 양보해야”

입력 2013-06-12 00:00
업데이트 2013-06-1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여야는 11일 서울에서 열릴 예정이던 남북 당국회담이 수석대표 ‘격(格)’을 둘러싼 대립 끝에 무산된 것과 관련, 안타까움과 유감의 뜻을 표하면서도 미묘한 ‘온도차’를 보였다.

새누리당은 북한의 무성의한 태도를 비판하며 태도 변화를 촉구하는데 무게를 둔 반면, 민주당 등 야권은 남북 당국 모두에 유연한 자세를 주문하는데 방점을 찍었다.

새누리당 민현주 대변인은 논평에서 “북한의 무성의한 자세로 인해 회담이 무산된 데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며 “북한이 과연 대화를 향한 의지와 진정성을 갖고 있는지, 이것이 대화에 임하는 책임 있는 자세인지 묻고 싶다”고 말했다.

민 대변인은 “북한은 오히려 우리 정부가 수석대표를 차관급으로 교체한 것을 두고 ‘엄중한 도발, 실무접촉 왜곡’이라며 대표단 파견을 보류한다고 했다”면서 “북한은 자신을 위해 한시라도 빨리 다시 대화의 장으로 나와야 한다”고 촉구했다.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새누리당 간사인 정문헌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회담 대표의 ‘격’ 문제는 잘못돼온 관행으로, ‘격’ 때문에 북한이 회담을 거부했다면 북한이 잘못한 것”이라며 “박근혜정부의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의 첫 단추를 잘 꿰기 위해선 북한의 잘못된 행태를 바로잡을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회담의 최종 결렬 여부에 대해선 “여기서 끝날지 재개될지는 지켜봐야 한다”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민주당 김관영 수석 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에서 “안타깝고 답답하다”며 “어떠한 일이 있어도 모처럼 맞이한 남북대화의 기회가 무산돼선 안 된다”고 밝혔다.

김 수석 대변인은 “’궁즉변, 변즉통’(窮卽變, 變卽通· 막히면 변하게 되고, 변하면 통한다는 뜻)이라고 했다”면서 “남북이 한발짝씩 양보하는 지혜를 발휘, 조속히 회담이 정상화될 수 있길 바란다”며 남북 양측 모두에 유연한 자세를 촉구했다.

이어 “상호존중, 인내의 자세로 대화를 해 회담이 성사되기를 바란다”며 “조속한 회담 정상화를 위한 남북 양 당사자의 진지한 노력을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2000년 6·15 남북정상회담 당시 특사로 활동하며 공식수행원으로 방북했던 박지원 전 원내대표는 트위터 글에서 “격도 중요하지만 본질이 중요하다. 결국 조정합의해 회담은 성사된다”고 낙관적인 견해를 밝혔다.

그러면서 “지난 21차례의 남북장관급 회담 대표로 우리는 통일부 장관, 북은 내각참사가 나와 성공했음을 주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진보정의당 이정미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매우 안타깝다. 논란의 핵심이 된 당국회담의 ‘격’은 전례를 따르면 될 일”이라며 “우리 정부가 회담 성사를 위해 노력을 더 기울여주길 바란다”고 주문했다.

통합진보당 홍성규 대변인은 구두논평에서 “굉장히 안타깝다”며 “근본적인 평화체제로의 전환이 필요한 만큼, 일희일비 하기 보다는 국민의 마음을 모아나가면서 지켜보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