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기 5년, 세계경제 다시 美만 본다

금융위기 5년, 세계경제 다시 美만 본다

입력 2013-09-12 00:00
업데이트 2013-09-12 00: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美연준 양적완화 4조弗 규모…18일 FOMC 출구전략 촉각

2008년 9월 15일(현지시간) 미국의 4대 투자은행인 리먼브러더스가 파산했다. 글로벌 금융 위기의 시작이었다. 그로부터 5년이 흐른 지금 세계의 시선은 또다시 미국을 향하고 있다. 그동안의 경기부양책을 거둬들이려 하고 있기 때문이다. 오는 18~19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그 방아쇠를 당길 것으로 보인다.

그해 가을의 위기는 세계경제를 파국으로 몰아가는 듯했다. 2009년 3월 9일에는 미국의 다우존스 주가지수가 6547.05까지 떨어졌다. 리먼브러더스가 파산하기 전 최고치인 1만 1421.99의 절반도 안 되는 수준이었다. 그해 10월 실업률은 10.2%까지 치솟았다.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는 국채와 회사채 등을 사들이며 시장에 돈을 풀었다. ‘양적완화’(QE)라는 생소한 단어가 경제뉴스를 장식했다. 미국이 세 차례에 걸친 양적완화를 통해 시장에 쏟아낸 돈은 올 8월까지 4조 3700억 달러에 달했다.

현재 미국경제는 완연한 회생 조짐을 보이고 있다. 올해 민간 부문의 실질 경제 성장률은 3%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유럽은 여전히 10%를 넘는 실업률을 기록하고 있다. 올 상반기 중국의 성장률은 7.6%로 ‘바오바’(8% 이상의 경제성장률)가 붕괴됐다.

한때 ‘중세시대 이후 최악의 암흑기’로 불렸던 글로벌 금융위기의 터널이 미국에는 오히려 글로벌 경제의 패권을 강화하는 계기가 됐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미국경제의 회복이 우리나라에는 다행스러운 일이라는 게 일반적인 분석이다. 무엇보다도 우리 경제의 강점이자 버팀목인 수출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날 전망이다. 다만 금리 등 금융시장의 부담은 일정 부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정영식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앞으로 미국의 금리가 오를 텐데 이 경우 국내 금리도 덩달아 올라 가계 부채나 기업 자금 조달에 부담을 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전경하 기자 lark3@seoul.co.kr

김양진 기자 ky0295@seoul.co.kr

2013-09-12 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