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계리 핵실험장은 어떤 곳

풍계리 핵실험장은 어떤 곳

입력 2013-02-12 00:00
업데이트 2013-02-12 13: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북한이 12일 제3차 핵실험을 단행한 것으로 알 려진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에 세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북한이 지난 2006년과 2009년에도 핵실험을 실시했던 풍계리는 해발 2천205m의 만탑산을 비롯해 기운봉, 학무산, 연두봉 등 해발 1천m 이상의 높은 산으로 둘러싸여 첩첩산중이라는 표현이 적합한 지역이다.

이곳은 암반이 화강암으로 이뤄져 있기 때문에 핵실험 이후 발생하는 각종 방사성 물질의 유출 가능성이 크지 않아 핵실험 장소로 좋은 조건을 갖춘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한·미 정보 당국은 풍계리 인근 지역의 굴착 움직임을 1990년대부터 집중적으로 감시해왔다.

북한은 풍계리 핵실험장의 동쪽과 서쪽에 ‘ㄴ’자 모양의 지하 갱도를 뚫고 지난 2006년 10월 9일 첫 핵실험은 동쪽 갱도에서, 2009년 5월 25일 두 번째 핵실험은 서쪽 갱도에서 각각 단행했다.

당시 북한의 핵실험으로 발생한 지진파를 이용해 계산한 결과 1차 핵실험 당시 진도는 리히터 규모 3.58, 폭발력은 1킬로톤(㏏)이었고, 2차 핵실험은 진도 4.52, 폭발력 2∼6kt 정도로 추정됐다. 킬로톤은 TNT 폭약 1천t의 폭발력을 의미한다.

지하 핵실험으로 폭발이 일어나면 핵분열 반응으로 발생한 고열에 암반이 녹아내려 갱도를 막고 인체에 해로운 각종 방사성 물질이 퇴적물에 섞여 있기 때문에 한 번 핵실험을 한 갱도는 다시 사용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북한은 2차 핵실험 이후 풍계리 핵실험장에 남쪽 갱도 등 2개의 갱도를 추가로 뚫은 것으로 알려졌다.

작년 여름 한반도를 강타한 수해와 태풍으로 새로 판 갱도 두 곳 가운데 한 곳의 입구에 토사가 흘러내리고 일부 시설이 훼손되는 피해를 보았지만 대부분 복원한 것으로 확인됐다.

북한은 1차 핵실험 때 사용한 동쪽 갱도는 폐쇄했으며, 2차 핵실험을 했던 서쪽 갱도와 새로 판 남쪽 갱도는 지속적으로 유지 관리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