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전문공개 문제없어”’先국조-後공개’로 역공

민주 “전문공개 문제없어”’先국조-後공개’로 역공

입력 2013-06-21 00:00
업데이트 2013-06-21 10: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발언록 아니라 그 어떤 것 가져와도 국조 막을 수 없어”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해 북방한계선(NLL) 포기 취지’ 발언 논란과 관련, 민주당은 21일 ‘선(先) 국정원 대선개입 의혹 국정조사-후(後) NLL 대화록 공개’ 카드로 역공에 나섰다.

대화록 공개 자체는 거부하지 않는 모습을 보이면서도 국정원의 정치·선거 개입 의혹 사건을 덮으려는 새누리당의 ‘물타기’ 시도에는 말리지 않겠다는 고민 끝에 나온 결론이다.

당장 ‘대화록 공개’로 정면돌파에 나설 경우 ‘국정원 사건’이 묻힐 수 있는 만큼 일단 국조 관철에 ‘올인’하되, NLL 이슈도 피하지 않겠다는 승부수를 던진 것이다.

근본대응을 하지 않으면 계속해서 여당이 ‘NLL 카드’로 민주당을 코너에 몰아세우려 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대응을 지체할 경우 국민에게 “민주당에 뭔가 켕기는 게 있는 모양”이라는 잘못된 신호를 줄 수 있다는 판단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은 이날 오전 긴급 비공개 최고위원회의를 소집, 대응책을 숙의한 뒤 김한길 대표의 발언을 통해 이 같은 입장을 공식화했다.

회의에서는 “NLL 문제를 키울 경우 여당 페이스에 말리는 것”이라는 신중론과 “문제될 것이 없으니 떳떳하게 나가자”, “이번 기회에 털고 가자” 등 대화록 공개와 거부 주장이 혼재된 가운데 ‘선 국조-후 공개’쪽으로 절충점을 찾은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민주당은 새누리당 정보위원들이 전날 열람한 발췌록이 노 전 대통령의 ‘진의’를 왜곡한 것이라며 대통령기념관에 보관된 원본은 물론 국정원이 보관하고 있는 나머지 1부도 공개할 것을 요구했다. 당 일각에선 녹음테이프까지 공개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었다.

민주당은 NLL 대화록 열람과 관련, 국정원 관계자들과 서상기 정보위원장 등에 대해 법적대응하는 한편으로 6월 국회에서 국정원 개혁에도 드라이브를 걸기로 했다.

이날 최고위 직후 국회 본청 앞 계단에서 열린 ‘국정원 국기문란 국조 촉구’ 결의대회도 새누리당과 국정원에 대한 성토장을 방불케 했다. 이날 대회는 국회내에서 열렸지만 ‘국정원 사건’과 관련된 민주당의 첫 옥외집회로 100여명의 의원과 당직자 등 400여명이 참석했다.

김 대표는 “새누리당과 청와대가 국기문란·헌정파괴 사건에 대한 국조를 회피하기 위해 급기야 NLL 발언록을 갖고 나왔다”며 “NLL발언록이 아니라 세상의 그 어떤 것을 가져와도 국정원의 대선개입 사건에 대한 국정조사를 막을 수는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전병헌 원내대표는 “국정원이 국기문란 사건을 감추기 위해 NLL이라는 흘러간 낡은 레코드판을 다시 돌리고 있다”며 “’NLL 매카시즘’이 진실을 원하는 국민의 요구를 덮을 수 없다”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NLL의혹 제기는 국제적 망신을 자초한 매국행위”라며 “새누리당이 국조 약속을 외면한다면 국기문란 사건의 공범이 될 것”이라고 압박했다.

박영선 법사위원장은 트위터 글에서 “하늘을 가리려고 허공에 폭탄을 터트린다고 국정원 선거개입 사건이 가려지겠는가”라며 “며칠간 NLL 발언 호기심에 솔깃할 수 있겠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국민은 새누리·박근혜정권의 후안무치와 국면전환용 카드가 얼마나 무리수였는지에 분노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