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대선개입 의혹’ 공방격화…얼어붙는 정국

여야 ‘대선개입 의혹’ 공방격화…얼어붙는 정국

입력 2013-10-22 00:00
업데이트 2013-10-22 12: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野 “법무장관 등 사퇴해야”…일각 ‘부정선거’ 주장與 “野, 대선 패배 한풀이…선거결과 불복하나”

국가권력기관의 대선 개입 의혹을 둘러싼 정치권의 공방이 갈수록 뜨거워지고 있다.

민주당 일부 중진들이 22일 당론을 뛰어넘어 지난 대선을 ‘부정선거’로 규정하고 승복 여부를 고민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내놓으면서 대선 개입 논란이 자칫 대선 공정성 공방으로까지 비화할 가능성마저 제기된다.

아울러 민주당 지도부는 대선 개입 및 수사 축소 의혹과 관련해 박근혜 대통령의 사과와 남재준 국정원장·황교안 법무장관·조영곤 서울중앙지검장의 사퇴를 요구하고 나섰고, 이에 대해 새누리당이 강력히 반발하면서 여야 간 대치 구도가 심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주 국감 시작을 계기로 일견 정상화하는 듯했던 정국이 다시 급속히 냉각되는 양상이다. 중반전에 접어든 국회 국정감사 역시 ‘대선 개입 논란’과 같은 정치 이슈만 부각되는 ‘기형적 모습’으로 변질되고 있다.

그동안 ‘대선 불복’으로 비칠까 조심해온 민주당 내부 기류가 심상치 않아 보인다.

원내대표를 지낸 박지원 의원은 의원총회에서 “국정원, 보훈처, 군의 총체적 부정선거”라며 “선거 문제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할 때가 됐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설훈 의원도 “지난 대선 자체가 심각한 부정이었다는 사실을 새삼 깨달아야 한다”면서 “이 선거 결과가 승복할 수 있었는지 다시 생각해야 한다”고 가세했다.

당 지도부는 잇단 대선 불복성 발언이 여론의 역풍을 맞을까 우려하고 있다.

특히 원내 지도부는 이들의 ‘부정 선거’ 발언 이후 정호준 원내대변인을 통해 “대선 개입과 댓글 수사 외압을 대선 결과와 연관지을 생각이 전혀 없다”며 진화에 나섰으나 내부의 강경한 목소리는 쉽사리 사그라들지 않을 전망이다.

전날 ‘부정선거’를 처음 언급했던 정세균 상임고문은 정 원내대변인의 브리핑 이후 다시 트위터에 글을 올려 “이것이 부정선거가 아니면 무엇이 부정선거냐. 대선 불복으로 비칠까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며 지도부의 입장을 사실상 비판했다.

이와 함께 김한길 대표는 윤석열 전 국정원 의혹 특별수사팀장의 ‘수사 외압’ 폭로를 거론, “대통령의 사과와 동시에 수사팀에 외압을 행사한 법무장관, 국정원장, 서울중앙지검장을 비롯한 책임 있는 인사들의 즉각 퇴진이 있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민주당 박용진 대변인은 “불법 선거가 드러날 때마다 걸쳐 입는 ‘대선 불복’이란 낡은 망토를 걷어치우고 국가기관 불법을 두둔하는 이유나 말해달라”고 말했다.

그러자 새누리당은 민주당이 대선 결과에 불복하고 정쟁에만 몰두한다고 비판하면서 ‘민주주의 절차에 따른 선거 결과조차 부인하는 법외(法外) 야당’의 이미지를 부각하는 데 집중했다.

특히 민주당이 박 대통령의 사과와 황 법무장관과 남 국정원장 등의 사퇴를 요구한 데 대해서도 “정치 공세일 뿐”이라고 일축했다.

김태흠 원내대변인은 브리핑에서 “툭하면 장관 사퇴와 대통령 사과 요구 등 대선 패배 한풀이의 못된 습관을 보이는 데 대해 국민은 식상해 있다”면서 “민주당은 못된 습관과 대선 패배 망령에서 하루빨리 벗어나기 바란다”고 말했다.

김기현 정책위의장은 국감대책회의에서 “민주당의 대선 불복 한풀이가 더 거세져 민생·정책 국감이 실종됐다”면서 “지금이 어느 시대인데 부정선거 운운하는 것은 황당하기 짝이 없다”고 비판했다.

김 정책위의장은 윤 전 팀장의 상부를 겨냥한 수사 상황 폭로에 대해서는 “검찰 내부의 하극상, 항명”이라고 비판하면서 공석인 검찰총장을 신속히 내정해 지휘 체계를 복원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