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성택 숙청 주도’ 최룡해는 누구? 의형제에서 라이벌로

‘장성택 숙청 주도’ 최룡해는 누구? 의형제에서 라이벌로

입력 2013-12-04 00:00
업데이트 2013-12-04 09: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룡해 북한 인민군 총정치국장.
최룡해 북한 인민군 총정치국장.


북한 김정은 정권의 2인자였던 장성택 국방위원회 부위원장 겸 노동당 행정부장의 실각설이 전해진 가운데 이를 주도한 것으로 알려진 최룡해 군 총정치국장에 대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최룡해는 총정치국장은 김일성 주석의 빨치산 동료인 최현 전 인민무력부장의 아들이다.

최룡해는 장성택 숙청을 주도한 것으로 전해졌지만 원래 두 사람은 의형제를 맺은 것으로 알려질 만큼 각별한 사이였다. 장성택이 2004년 ‘권력욕에 의한 분파행위’로 쫓겨났을 때 최룡해 역시 같은 죄목으로 처벌을 받았다.

장성택과 최룡해 두 사람은 김정은 체제가 출범하자 권력의 양대축으로 부상했다. 특히 최룡해의 경우 군 출신이 아닌데도 김정은이 정식으로 후계자 자리에 올랐을 때 김정은과 함께 인민군 대장 칭호를 받으며 본격적으로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지난해 4월 제4차 당대표자회 전에는 대장에서 차수로 승진하며 북한군 핵심요직인 총정치국장에 임명됐고 당대표자회를 통해 정치국 상무위원으로 초고속 승진했다.

지난 12월 차수에서 다시 대장으로 강등돼 권력 다툼 과정에서 밀려난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되기도 했다. 최룡해가 리영호 전 총참모장 숙청과 군부의 이권사업 뺏기를 무리하게 진행하다가 역풍을 맞았다는 분석이었다.

그러나 강등 2개월 만인 지난 2월 다시 차수로 복귀하며 건재함을 과시했고 지난 5월에는 김정은 제1위원장의 특사 자격으로 중국을 방문하며 실세임을 보여줬다.

이렇듯 최룡해는 지난 2년간 김정은 체제 하 군부에서 유일하게 자리를 지켰다.

장성택과 최룡해는 장거리 로켓 발사와 3차 핵실험 과정에서 적잖은 갈등을 빚어온 것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결국 장성택이 최룡해와의 권력 다툼에서 밀려나 실각한 것으로 보인다.

장성택의 실각이 사실로 확인되면 향후 북한 정권은 김정은 제1위원장과 최룡해를 중심으로 짜여질 가능성이 크다. 특히 경제 개혁·개방 정책을 주도했던 장성택이 실각하고 군부 실세 최룡해가 권력 2인자로 부상하면서 김정은 정권의 주요 정책이 보수적인 군부 중심으로 돌아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