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야권분열 얘기는 기득권적 시각의 발로”

안철수 “야권분열 얘기는 기득권적 시각의 발로”

입력 2013-12-26 00:00
업데이트 2013-12-26 13: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민주당 겨냥, “정치의 창조적 확장과 재편에 호남이 함께해달라””87년 김대중·김영삼 중 한 분 양보했다면 결단이었을 것”

무소속 안철수 의원은 26일 “국민이 바라는 새정치에 대한 열망을 야권 분열로 이야기하거나 함께 하시는 분들을 폄하하는 것은 기득권적 시각의 발로”라고 말했다.

새추위 간담회 무소속 안철수 의원이 26일 오전 광주 서구 치평동 NGO센터에서 열린 ‘새정치추진위원회 광주 설명회’ 광주, 전남 시도민 초청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새추위 간담회
무소속 안철수 의원이 26일 오전 광주 서구 치평동 NGO센터에서 열린 ‘새정치추진위원회 광주 설명회’ 광주, 전남 시도민 초청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안 의원은 이날 광주시 서구 치평동의 NGO(비정부기구)센터에서 열린 ‘새정치추진위원회(새정추) 광주 설명회’에 참석해 “민심과 동떨어진 채 미래를 생각하지 못하는 구체제, 구사고, 구행태의 산물”이라며 이같이 주장했다.

이러한 언급은 자신의 신당 창당 추진을 ‘야권분열’로 몰아세우는 민주당을 정면으로 비판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안 의원은 민주당을 직접 겨냥해 “호남인들의 지지를 변화와 개혁, 수권으로 보답하지 못하고 깊은 타성에 빠진 것은 아닌가 모르겠다”면서 “호남에서의 낡은 체제 청산이 거역할 수 없는 시대적 요구라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저희 새정추는 새누리당과 민주당을 뛰어넘어 한국 정치의 전체를 바꾸겠다”며 “대한민국 정치의 창조적 확장과 재편에 호남이 함께해 달라”고 지지를 호소했다.

안 의원은 “기존의 낡은 체제와 세력으로 결코 수권할 수 없다. 지난 두 번의 총선, 대선에서 분명히 입증됐다”면서 “지역주의에 안주하고 혁신을 거부하며 상대방 폄하로 기득권을 유지하려는 낡은 사고와 체제를 이곳 호남부터 과감히 걷어내 달라”고도 말했다.

또 “새정치 체제로의 변혁은 누구도 방해하거나 막을 수 없는 시대적 요구라고 생각한다”면서 “앞으로 많은 시련이 따라올 것으로 보이지만 그 길이 가시밭길이라 해도 차근차근 한발 한발 뚜벅뚜벅 분명하게 가려고 한다”며 각오를 다지기도 했다.

안 의원은 “오늘 이 자리에서 여야 정치권에 제안한다”면서 “지난 1년간 반목과 대립, 증오와 배제의 정치행태를 새해부터는 끝내겠다고 국민 앞에 약속하자”고 말했다.

또 “삶의 정치를 위해 여야가 하나로 힘을 모으고 정치혁신에는 각각 치열한 경쟁을 벌여 나가자”고 제안했다.

안 의원은 최근 신당 합류를 앞두고 광주·전남지역에서 민주당 탈당 기류가 확산하는 데 대해선 “저희와 사전에 논의된 바는 전혀 없다”라고 선을 그으면서도 “새 정치에 대해, 합리적 개혁이 필요하다고 믿는 분들은 모두 다 함께 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후보 ‘필터링’ 방법에 대한 질문에는 “바람직한 새 정당 모델, 바람직한 후보 선출 방법에 대해 제대로 시간을 갖고 정리된 내용을 말하겠다”라며 즉답을 피했다. 경선을 치르는 것 아니냐는 물음에는 “정한 바가 없다”라고 단호히 말했다.

안 의원은 기자간담회에 이어 지난 대선 당시 민주당 문재인 후보와의 단일화를 고언했던 지역 인사들과 오찬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안 의원은 “단일화는 제 평생 했던 여러 가지 결심 중 가장 큰 결단이었으나 어떤 분들은 ‘왜 그렇게 소심하냐’라고 폄하하기도 한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1987년 당시 김대중·김영삼 두 대선 후보가 단일화 협상에 실패한 역사를 거론하며 “당시 어느 한 분이 양보했다면 결단이겠는가, 포기겠는가”라고 반문한 뒤 “결단일 수밖에 없다”라고 강조했다.

안 의원은 “저도 당시에 포기한 게 아니고 결단했던 것”이라며 “이제 다시 새로 시작하는 입장에서 한번 제대로 만들어서 실제 성과를 내보겠다”라고 다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