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정인 “회고록, 절대적으로 진실이라 얘기할수 없어”

문정인 “회고록, 절대적으로 진실이라 얘기할수 없어”

입력 2016-10-17 13:37
업데이트 2016-10-17 13: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송민순 對 이재정 싸움”…與공세에 “막가파식 정치”

노무현 정부에서 외교통상부 국제안보 분야 대외직명대사를 역임한 문정인 연세대 명예특임교수는 17일 송민순 전 외교통상부 장관의 회고록 논란에 대해 “송 전 장관은 (유엔 북한인권결의안과 관련) 북한에 의견을 물은 다음에 (우리 정부가) 기권 결정을 했다는 식으로 표현했는데 적절하지 않은 표현 같다”고 밝혔다.

문 교수는 SBS라디오에 출연해 “북한이 어떤 반응을 보일까 하는 탐색의 의미는 있을지 모르지만, 북한의 의견을 물어서 기권 여부를 결정한다는 표현은 제가 볼 때 사실과 다르지 않은가 생각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회고록과 관련한 정치적 배경이나 이른바 ‘노이즈 마케팅’에 대해서는 “송 전 장관은 그런 분은 아니다”면서도 “기본적으로 회고록은 자기 입장을 주장하는 경향이 강하고, 회고록 자체가 절대적으로 진실이라고 얘기할 수는 없다”고 주장했다.

문 교수는 “당시 싸움은 사실상 외교통상부와 통일부의 싸움, 송 장관과 이재정 통일부 장관 간 싸움이었다”면서 “문재인 비서실장은 제가 볼 때 들어갈(개입할) 여지는 별로 없었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2007년 11월 18일 회의도 “비서실장이 주재한 것이 아니고 (백종천) 외교안보정책실장이 주재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당시 문재인 비서실장은 유엔 인권제재(북한인권결의안)에 찬성하는 입장이었던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문 교수는 송 전 장관이 회고록에서 10.4선언(남북관계 발전과 평화번영을 위한 선언)의 ‘3자 또는 4자 정상들이 한반도지역에서 만나 종전을 선언하는 문제를 추진하기 위해 협력해 나가기로 하였다’라는 조항과 관련, 자신은 3자나 4자 대신 직접 당사자로 주장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언급한 부분에 대해서도 “송 전 장관은 당시 개입할 여지가 없었다”고 주장했다.

문 교수는 새누리당이 회고록을 근거로 북한과 내통한 것이라고 공격한 것에 대해 “금도 없는 막가파식 정치라는 느낌”이라면서 “참여정부 때 장관을 하신 분이 ‘종복(북한을 추종함)’이라는 표현을 쓰는 것은 결국 정치적 의도가 있다는 느낌”이라고 비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