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시진핑 “한반도 비핵화 공조”

朴대통령·시진핑 “한반도 비핵화 공조”

입력 2013-06-28 00:00
업데이트 2013-06-28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중 정상회담… ‘미래 비전’ 공동성명 발표

박근혜 대통령은 27일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시진핑(習近平) 중국공산당 총서기 겸 국가주석과 단독 및 확대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 관계와 한반도 문제 등에 대해 포괄적인 ‘한·중 미래 비전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손잡은 한·중
손잡은 한·중 박근혜(왼쪽)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공산당 총서기 겸 국가주석이 27일 오후 베이징(北京) 인민대회당에서 공동기자회견을 끝낸 뒤 활짝 웃으면서 악수하고 있다. 두 정상은 북핵 해결을 위한 노력과 수교 21년을 맞은 양국관계 발전 방안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한·중 미래비전 공동성명’에 서명했다.

베이징 연합뉴스


박근혜 대통령이 27일 인민대회당 광장에서 열린 공식환영 행사에서 시진핑(習近平) 중국 공산당 총서기 겸 국가주석과 악수를 하고 있다. (청와대 홈페이지) 뉴스1
박근혜 대통령이 27일 인민대회당 광장에서 열린 공식환영 행사에서 시진핑(習近平) 중국 공산당 총서기 겸 국가주석과 악수를 하고 있다. (청와대 홈페이지)
뉴스1


이미지 확대
두 정상은 공동성명에서 “양측은 한반도 비핵화 실현 및 한반도 평화와 안정 유지가 공동이익에 부합함을 확인하고 이를 위해 함께 노력해 나가기로 했다”며 “양측은 유엔 안보리 결의 및 9·19 공동성명을 포함한 국제의무와 약속이 성실히 이행돼야 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고 밝혔다. 공동성명은 이어 “한국 측은 북한의 계속되는 핵실험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고 어떤 상황에서도 북한의 핵 보유를 용인할 수 없음을 분명히 밝혔다”며 “이와 관련해 양측은 유관 핵무기 개발이 한반도를 포함한 동북아 및 세계의 평화와 안정에 심각한 위협이 된다는 점에 인식을 같이했다”고 명기했다.

두 정상은 한·중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 내실화를 위한 4대 기본원칙으로 ▲상호 이해 및 상호 신뢰 제고 ▲미래 지향적 호혜협력 강화 ▲평등 원칙과 국제 규범의 존중 ▲지역 및 국제사회의 평화 안정과 공동 번영 기여 등에 합의했다.



두 정상은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간 대화 체제를 신설하는 등 외교·안보 분야의 전략대화를 강화하기로 했으며, 차관급 전략회의도 연 2회 개최하기로 합의했다. 이를 위해 양국 지도자와 정부, 의회, 정당, 학계 등 다양한 주체 간에 전략적 소통을 위해 포괄적, 다층적 대화에 나서기로 했다.

정상회담에서 시 주석은 박 대통령의 대북 기조인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를 환영, 지지했으며 이른바 서울 프로세스(동북아 평화협력구상)에 대해 원칙적 지지 의사를 표명했다.

박 대통령과 시 주석은 공동성명을 통해 “양국은 6자회담 틀 내에서 양자 및 다자대화를 강화하고 이를 통해 한반도 비핵화 등을 위한 6자회담 재개에 긍정적인 여건이 마련되도록 노력한다”고 합의했다.

두 정상은 또 한·중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를 내실화하기 위해 처음으로 ‘이행계획’을 공동성명의 부속서로 채택하고 ▲양국 정상 간 긴밀한 소통과 다각적·중층적 전략대화 구축 ▲다양한 형태의 교류를 통한 인문 유대 강화 ▲경제사회 분야에서의 호혜협력 확대 등에 뜻을 같이했다. 주철기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은 “한·중 미래 비전 공동성명을 채택함으로써 양국의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가 신뢰에 기반하여 내실 있게 발전하는 이정표를 마련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주 수석은 특히 이행계획을 위한 부속서 채택과 관련, “과거 형식적인 측면에서 벗어나 한·중 관계의 질적 변화를 꾀하고, 한 단계 업그레이드시키기 위한 새로운 차원의 구체적 청사진”이라고 밝혔다.

두 정상은 2015년까지 무역액 3000억 달러(약 345조원) 달성을 위해 노력하기로 했으며, 특히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의 조속한 체결을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

베이징 오일만 기자 oilman@seoul.co.kr

2013-06-28 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