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최유정 로비 행동대장’ 이동찬, 공갈까지 기획했다

[단독] ‘최유정 로비 행동대장’ 이동찬, 공갈까지 기획했다

서유미 기자
서유미 기자
입력 2016-06-20 22:56
업데이트 2016-06-21 02: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브로커 이씨 메모 단독 입수

송창수 사기 사건 해결하려고 상대편 인사·변호사 모함 계획
뒷돈 받아 챙긴 범인으로 몰아
최 변호사 의혹 불거져 실행 불발

이미지 확대
이동찬. 연합뉴스
이동찬. 연합뉴스
최유정 변호사 사무실서 발견된 메모. 서유미 기자 seoym@seoul.co.kr
최유정 변호사 사무실서 발견된 메모. 서유미 기자 seoym@seoul.co.kr 이숨투자자문 사건 관계자를 공갈하려는 계획을 담은 메모. 브로커 이동찬씨가 작성한 이 메모는 지난 4월 말 찢긴 채 발견됐다.
정운호(51·구속 중) 네이처리퍼블릭 대표 구명 로비 과정에서 최유정(46·구속 중) 변호사의 핵심 로비스트로 활동했던 브로커 이동찬(44)씨가 이숨투자자문의 실질적 대표 송창수(40·복역 중)씨의 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공갈까지도 불사할 계획이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씨가 최 변호사 로비의 ‘행동대장’일 뿐 아니라 ‘기획자’였다는 뜻이다.

이씨의 ‘공갈작전’은 서울신문이 입수한 이씨의 메모에 담겨 있다. 이 메모는 검찰이 압수수색하기 직전인 지난 4월 말 최 변호사의 서초동 사무소에서 조각조각 찢긴 상태로 발견됐다. 메모에 적힌 내용은 상대편 인사와 변호사를 모함하는 계획이었다. 이 작전은 그러나 최 변호사의 고액 수임 의혹이 불거지면서 실행에 옮겨지지는 않았다. 작성자가 이씨라는 점은 이씨 측근으로부터 확인됐다.

‘김모씨 절도’라는 제목으로 작성된 메모는 송 대표의 전 운전기사였던 김씨가 이숨투자자문 측의 돈을 받아 가는 것처럼 꾸며놓고 절도 혐의를 씌우자는 내용이다. 계획에 따르면 이들은 메모 작성 2개월 뒤인 이달 초 김씨에게 전달할 가방에 수천만원을 넣고 ▲누가 돈을 넣어놨는지 ▲어느 계좌에서 인출됐는지 등을 미리 준비해 경찰에 고소할 예정이었다.

메모에는 “고소장은 대략적인 내용이니 구체적으로 하나하나 진술할 수 있도록 미리 적어놓고 준비할 것”이라고 적혀 있다. 특히 공갈 작업의 대상에는 운전기사 김씨뿐만 아니라 피해자 측을 대리하는 김모 변호사도 포함됐다. 경찰 고소 뒤 언론에 알려 여론전을 펼칠 계획도 담겨 있었다.

이씨는 메모에 “김씨와 김모 변호사가 결국 돈이 목적인 만큼 김 변호사로 하여금 (송 대표 측에) 돈을 요구하도록 유도하고, 미리 경찰에 얘기해 돈을 건네는 현장을 급습해 긴급체포하도록 할 것”이라고 작성했다. 김모 변호사를 ‘뒷돈을 받아 챙긴 범인’으로 몰아 궁지에 몰리게 한 다음 항소심을 자신들의 뜻대로 끌고 가겠다는 작전인 것이다.

실제 운전기사 김씨는 최 변호사의 고액 수임 논란이 불거지기 이전인 올해 3월 절도 혐의로 서울중앙지법에 구속영장이 청구됐다가 기각되기도 했다. 당시 김씨는 송 대표가 차에 두고 다녔던 수억원을 가로챘다는 혐의를 받았다. 운전기사 김씨는 이숨투자자문 피해자들이 송 대표의 은닉 재산을 되돌려 받는 과정에서 피해자 측에 협조를 하면서 이씨의 공격 대상이 된 것으로 알려졌다.

김 변호사는 “최 변호사 측이 복역 중인 송 대표의 항소심을 위해 ‘일을 꾸미고 있다’는 소문을 들었다”며 “승소를 위해서는 수단 방법을 가리지 않고 ‘작업’을 하는 게 이씨의 행태”라고 말했다.

이숨투자자문 사기 사건의 피해자는 1400명 이상, 피해액은 1300억원대에 이른다. 서울중앙지법 형사25부(부장 김동아)는 지난 4월 사기 등의 혐의로 기소된 송 대표에게 징역 13년을 선고했다. 최 변호사는 이숨투자자문 1심 재판에서 공식적인 선임계를 제출하지 않고 직접 담당 재판부에 전화를 걸어 변론한 것으로 알려졌다. 송 대표와 최 변호사, 이씨의 ‘합작’은 이후 거액 수임 논란이 불거지면서 끝났다.

서유미 기자 seoym@seoul.co.kr
2016-06-21 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