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대형 총기참사…미국 테러 우려 속 총기 공포 확산

또 대형 총기참사…미국 테러 우려 속 총기 공포 확산

입력 2015-12-03 08:56
업데이트 2015-12-03 08: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소 14명 사망…2012년 샌디훅 사건 이후 최악 기록오바마·민주-공화 총기규제 공방 가열 예고…대선쟁점화

미국에서 2일(현지시간) 또다시 대형 총기 난사 사건이 터져 미국 사회가 큰 충격에 휩싸였다.

특히 이번 사건은 사상 최악의 프랑스 파리 테러 이후 미 당국이 본토 내 테러 가능성을 우려해 경계를 극도로 강화한 상태에서 발생한 것이어서 미국인들이 느끼는 심리적 공포는 더욱 큰 상황이다.

이날 오전 캘리포니아 주(州) 로스앤젤레스(LA) 동부 샌버나디노 시의 발달장애인 복지·재활시설 ‘인랜드 리저널 센터’에서 발생한 총기 난사 사건의 사망자는 현재까지 확인된 숫자만 14명이다.

또 다른 14명이 총상을 입고 인근 병원에서 치료 중이어서 희생자는 더 늘어날 공산이 크다. 총격범 중 1명도 경찰에 의해 사살됐다.

희생자 숫자로만 보면 2012년 12월 코네티컷 주 뉴타운 샌디훅 초등학교에서 발생한 사건 이후 최대 규모다. 당시 샌디훅 초등학교에선 무장괴한이 학교에 난입해 마구잡이로 총격을 가하면서 어린이 20명을 비롯해 총 28명(총격범 및 총격범 모친 포함)이 숨졌다.

이번과 비슷한 규모로는 2013년 9월 워싱턴D.C. 해군기지 총기 난사(13명 사망), 2012년 7월 콜로라도 주 오로라 극장 총기 난사(12명 사망), 2009년 11월 텍사스 주 포트 후드 미 육군시설 총기 난사(13명 사망), 2009년 4월 뉴욕 주 이민국 총기 난사(14명 사망) 사건 등이 있다.

이보다 앞선 2007년 4월에는 버지니아 주 블랙스버그의 버지니아텍에서 한인 학생 조승희가 32명을 사살하고 스스로 목숨을 끊는 최악의 총기 난사 사건 발생했다.

이번 사건 규모에는 못 미치지만 지난 6월 사우스캐롤라이나 주 찰스턴의 흑인 교회에서 발생한 총기 난사(9명 사망)부터 불과 사흘 전인 지난달 28일 콜로라도 주 스프링스의 낙태 옹호단체 ‘가족계획연맹’(Planned Parenthood) 진료소에서 벌어진 총격(3명 사망) 사건에 이르기까지 올해 들어서만도 크고 작은 총기 사건이 이미 여러 건 발생했다.

이들 사건의 상당수는 무슬림 극단주의자나 백인 우월주의자 등 ‘외로운 늑대’, 즉 글로벌 테러 조직에 속하지 않은 자생적 테러리스트에 의해 자행된 것이다.

이번 사건은 3명으로 추정되는 총격범들 중 1명은 사살되고 2명은 도주 중인 상태라 정확한 총격 배경을 알 수는 없지만, 이 같은 범주의 일환이 가능성이 크다.

다만, 총격범들이 권총이 아닌 소총을 난사했다는 점에서 테러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는 분석도 나온다.

더욱이 미 조지워싱턴 대학의 ‘극단주의 프로그램’ 연구진이 전날 펴낸 보고서에서 미국 내에서 현재 파리 테러범 ‘이슬람국가’(IS)의 ‘홍보 대사’로 활동하는 사람이 최소 300명 이상이라는 분석을 내놓은 터라 미 당국은 이번 사건에 더욱더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만에 하나 테러 조직과 조금이라도 연계된 것으로 밝혀질 경우 사건 자체의 파장과 더불어 미국 사회의 불안감은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이런 가운데 이번 총기 난사 사건을 계기로 미 정치권의 총기 규제 공방은 한층 가열될 전망이다.

당장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물론 민주당 유력 대선주자인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까지 즉각 강력한 총기규제를 촉구하고 나서 미 대선의 핵심 쟁점으로도 부상하고 있다.

오바마 대통령은 이날 CBS 인터뷰 도중 “이런 일이 일상적으로 일어나는 것이라고 생각해서는 절대 안 된다. 다른 나라에서는 이렇게 빈번하게 일어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이어 “이제는 법을 바꿔야 한다”면서 비행기탑승금지 명단에 오른 이른바 ‘요주의 인물’들이 총기를 아예 구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법안을 조속히 통과시켜야 한다고 촉구했다.

클린턴 전 장관 역시 트위터에서 “이런 것은 정상적인 것이 아니다”면서 “이제는 총기폭력 근절을 위해 조치를 취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총기 규제에 반대하는 공화당과 공화당 대선 주자들은 아직 이렇다 할 견해를 밝히지 않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