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천억 들인 북핵 탐지시스템 ‘무용지물’

수천억 들인 북핵 탐지시스템 ‘무용지물’

입력 2013-02-19 00:00
수정 2013-02-19 00: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방사성 물질·위성사진 한장도 확보못해…

이미지 확대
北 3차 핵실험 성공 축하 군민대회
北 3차 핵실험 성공 축하 군민대회 북한 자강도에서 18일 제3차 핵실험 성공을 축하하는 의미의 ‘군민연환대회’가 열리고 있다. 가운데는 고(故) 김일성 주석과 그의 아들인 고(故)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대형 사진.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정부가 2006년 북한의 1차 핵실험 이후 막대한 예산을 투입해 첨단 장비들을 마련해 놓았으나 지난 12일 3차 핵실험이라는 ‘실전’에서는 아무런 역할을 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개발비로 5000억원이 투입된 아리랑 2·3호 등 다목적 실용위성이 사진 촬영에 실패한 데 이어, 7년간 준비해온 핵실험 대응 시스템조차 무용지물로 드러난 셈이다. 지진파를 감지해 핵실험 여부와 폭발규모를 추정한 것 이외에 한국이 자력으로 밝혀낸 것은 아무 것도 없다.

18일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등에 따르면 정부는 이날까지 핵실험 종류를 파악할 수 있는 방사성 핵종 수집에 실패했다.

실험 이후 상당한 시간이 지났다는 점, 바람 방향 등을 감안하면 앞으로도 방사성 핵종을 수집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 원안위 측은 “북한 인근 지역 해상과 육상에서 포집한 18개 샘플, 이와 별도로 육상과 해상에서 포집한 공기 샘플 5개의 분석을 매일 반복했지만, 인공 방사성 핵종의 흔적을 찾지 못했다”고 밝혔다.

방사성 핵종은 북한의 핵실험이 실제 행해졌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핵심 증거가 된다. 핵실험이 실시되면 자연상태에서는 발생하지 않는 크세논(Xe·제논), 크립톤(Kr), 요오드(I), 세슘(Cs) 같은 인공 방사성 핵종이 발생한다. 또 핵종들의 조합을 분석하면 핵폭탄의 종류도 알 수 있다.

정부는 2006년 1차 핵실험 이후 지속적으로 방사성 물질 관측 시스템을 구축하고 장비를 도입해왔다.

2007년과 2011년 스웨덴에서 공기 중에 포함된 미량의 크세논을 분석하는 장비인 ‘사우나’(SAUNA) 2대를 대당 72만 유로(약 10억 4000만원)에 도입, 동해안과 서해안에 배치했다. 2008년에는 이동식 포집기와 전용 분석기를 대전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에 도입했고, 한국형전술통제기(KA-1)에 세슘 포집장치를 설치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 같은 시스템을 구축하고도, 3차 핵실험과 관련된 어떤 증거도 확보하지 못했다. 앞서 1차 핵실험 때는 미군 특수정찰기가 방사성 핵종을 탐지했고, 2009년 2차 핵실험 때는 크세논 탐지에 실패했다. 결국 한국은 3차례의 핵실험 중 단 한 차례도 탐지하지 못한 것이다.

이에 대해 정부는 북한의 핵실험이 고도화됐기 때문이라는 입장이다. KINS 측은 “북한이 과거보다 더 깊은 땅속에서 실험을 하고, 실험장을 견고하게 구축하면서 방사성 물질이 바깥으로 빠져 나오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면서 “미량의 방사성 물질이 빠져나왔다 해도, 대기 중에 희석되면서 남쪽에서 탐지하기는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정부가 막대한 돈을 투입한 이 장비들을 내세워 매년 두 차례 북핵 실험 비상대응 훈련을 하면서, 북핵 실험에 만반의 준비를 마쳤다고 자신해온 점을 감안하면 옹색한 변명에 불과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특히 방사성 핵종 탐지의 핵심 장비인 ‘사우나’ 도입 당시 일부 전문가들은 가격에 비해 탐지능력이 떨어진다고 반대하기도 했다.

박건형 기자 kitsch@seoul.co.kr

2013-02-19 6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1월 5일로 다가온 미국 대선이 미국 국민은 물론 전세계의 초미의 관심사가 되고 있습니다. 민주당 후보인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과 공화당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각종 여론조사 격차는 불과 1~2%p에 불과한 박빙 양상인데요. 당신이 예측하는 당선자는?
카멀라 해리스
도널드 트럼프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