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중국의 변화, 시진핑 시대] 4세대 후진타오만 빼고 ‘투쟁·암투’로 점철

[2012 중국의 변화, 시진핑 시대] 4세대 후진타오만 빼고 ‘투쟁·암투’로 점철

입력 2012-11-08 00:00
업데이트 2012-11-08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공산당 권력교체史

중국의 공산당 권력교체는 투쟁으로 점철돼 왔다. 1949년 중국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평화적인 권력교체가 이뤄진 것은 장쩌민(江澤民) 전 국가주석에서 현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으로 이양됐던 지난 2002년 공산당 제16차 전국대표대회(전대)가 처음이다.

●‘문혁’ 이후 덩샤오핑 집권… 개혁 추진

‘건국의 아버지’이자 1세대 지도자인 마오쩌둥(毛澤東)이 무소불위의 권력을 행사하다 1976년 9월 사망하자 중국 권부에는 피바람이 몰아쳤다. 문화대혁명(문혁) 때 좌천당한 덩샤오핑(鄧小平)을 지지하는 예젠잉(葉劍英) 등 개혁파와 마오의 부인인 장칭(江靑)을 비롯한 ‘문혁 4인방’이 충돌한 것. 예젠잉 등 군부 개혁파는 ‘군사 쿠데타’에 성공해 4인방을 체포했고, 덩샤오핑은 마오의 뒤를 이은 2세대 지도자로 올라서 개혁·개방 등 중국의 현대화 역사를 새로 써나갔다.

앞서 덩샤오핑이 문혁 당시 좌천됐던 것도 권력투쟁의 결과였다. 마오는 대약진운동 실패에 대한 비난이 거세지자 권좌를 내놓고, 당시 2인자였던 류샤오치(劉少奇)에게 전권을 일임했다. 류샤오치는 실용주의를 앞세운 덩샤오핑을 등용해 대약진운동의 후유증 치유에 나섰고, 국민들의 높은 신망을 얻었다. 이에 위기의식을 느낀 마오는 홍위병을 앞세워 대대적으로 문혁을 일으켜 류샤오치와 덩샤오핑을 내친 바 있다.

●자오쯔양, 텐안먼 무력진압 반대로 실각

3세대 지도자 장쩌민으로의 권력교체도 순조롭지 못했다. 당초 덩샤오핑의 후계자는 장쩌민이 아닌 자오쯔양(趙紫陽) 총서기였지만, 자오쯔양이 1989년 6월 톈안먼(天安門) 사태 때 무력진압을 반대하다 실각한 뒤 후임으로 장쩌민이 간택됐다. 덩샤오핑은 4세대 지도자 후진타오의 ‘후견인’으로서 생전에 직접 최고지도부 반열에 올려놓기도 했다.

후 주석에서 5세대 지도자 시진핑(習近平) 부주석으로의 권력이양은 외견상 평화적인 권력교체로 보이지만 ‘암투’는 어느 때보다 치열했다. ‘보시라이(薄熙來) 스캔들’이 그것이다. 지난 5월에는 보시라이 처리 문제를 놓고 계파 간 반목으로 톈안먼 광장에 탱크가 진입했다는 소문이 나돌기까지 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2012-11-08 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