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주변 상공 스텔스기 주무대

한반도 주변 상공 스텔스기 주무대

입력 2013-09-24 00:00
업데이트 2013-09-24 16: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日 F-35 구매…중·러 스텔스기 개발

우리 군의 차기전투기(F-X) 사업과 관련해 주변국의 전투기 개발 및 확보 동향에 관심이 쏠린다.

군 당국의 자료에 의하면 중국과 일본, 러시아 등 한반도 주변국은 스텔스 전투기를 개발하거나 확보하는 데 열을 올리고 있다.

오는 2016∼2019년 사이 이들 국가의 스텔스 전투기가 전력화되면 한반도 주변 상공은 스텔스기의 주무대가 될 전망이다. 현재 한반도 주변 해저는 주변국의 잠수함이 활개를 치고 있다.

중국은 2011년 1월 11일 쓰촨성 청두의 한 공군 기지에서 독자 개발한 5세대 스텔스 전투기 ‘젠(殲)-20(J-20)’의 시험비행을 성공적으로 끝냈다.

세계 최강 전투기인 미국의 F-22 랩터를 겨냥해 개발 중인 이 전투기는 음속의 2배 이상으로 비행할 수 있고 2019년께 전력화될 예정이다. 작전 반경은 2천㎞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산둥반도와 서울까지의 거리 5배에 해당한다.

이론적으로는 한번 출격하면 공중급유를 받지 않고 한반도 전역을 비롯한 홋카이도를 제외한 일본 전역에서 상당시간 작전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중국은 미국 F-35에 필적하는 5세대 스텔스 전투기 젠(殲)-31(J-31)도 연구·개발 중이다. 외형이 F-35와 똑같아 ‘짝퉁 F-35’로도 불리는 이 전투기는 지난해 10월 31일 랴오닝성 선양에서 첫 시험 비행에 성공했다.

일본은 2011년 12월 스텔스 전투기인 F-35기를 차세대 주력 전투기로 선정해 모두 42대를 도입하기로 했다.

완제품으로 4대를 구매하고 4대는 일본에서 미국과 공동 생산하며, 나머지 34대는 일본이 기술을 이전받아 독자적으로 개발하는 내용으로 계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본이 도입할 F-35의 부품 중 엔진 통풍기와 터빈 등 17개(10%) 부품을 일본 기업이 생산하도록 최근 합의가 이뤄졌다. 이를 통해 최신 전투기 개발 기술을 상당수준 이전받을 것으로 보인다.

또 스텔스 전투기인 ATD-X(心神)를 자체 개발하고 있다. 일본 방위성 내 기술연구본부에서 주계약기업인 미쓰비시중공업과 함께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다 스텔스기를 탐지·추적할 수 있는 레이더와 사격 관계 시스템 등의 연구·개발도 본격 착수한다고 한다.

러시아도 2016년 전력화를 목표로 스텔스 전투기인 T-50(PAK-FA)을 개발 중이다.

지난 2010년 10월 시험비행에 성공한 뒤 작년 8월 공군 창설 100주년 기념식 때 MiG-29M2와 짝을 지어 비행하며 위용을 선보였다. 미 공군의 F-22에 대항해 주력 전투기로 실전 배치될 전망이다.

한국국방연구원(KIDA)의 한 전문가는 24일 “스텔스기 등장으로 전술개념이 변화하고 있다”면서 “특히 한반도 주변국도 스텔스기를 전력화하고 있어 우리에겐 잠재적인 위협이 되고 있다. 중장기적인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