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일본의 ‘대북 제재’ 요구에 신중 반응

중국, 일본의 ‘대북 제재’ 요구에 신중 반응

입력 2013-02-21 00:00
업데이트 2013-02-21 16: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북 제재보다 대화 강조…유엔 안보리 논의 난항 예상

중국이 일본의 대북 제재 요구에 신중한 반응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21일 교도통신 등 일본 언론에 따르면 일본의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인 스기야마 신스케(杉山晋輔)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은 20일 중국 베이징에서 우다웨이(武大偉) 한반도 사무 특별대표를 만나 중국이 북한의 3차 핵실험에 대해 강력히 대응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북한의 3차 핵실험 강행 이후 6자회담 참가국의 고위 외교 당국자가 중국을 방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스기야마 국장은 회담에서 “(북한의 핵실험은) 유엔 안보리 결의를 위반한 것인 만큼 허용할 수 없다”며 “북한과 정치·경제적으로 관계가 깊은 중국의 지도적인 역할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우다웨이 대표는 “기본적 생각은 공유하고 있다”면서도 북한 체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강도 높은 제재에는 신중한 반응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스기야마 국장은 회담 후 기자회견에서 “(양측의) 의견이 완전히 똑같은 것은 아니지만, 사태 악화를 막기 위한 노력을 한층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는 의견이 일치했다”며 중국의 태도가 이전보다 엄격해졌다고 시사했다.

중국 외교부는 중·일 6자회담 수석대표 회동 결과를 소개하면서 ‘제재’보다는 ‘대화’에 방점을 찍었다.

외교부 훙레이(洪磊) 대변인은 21일 정례 브리핑에서 “관련국들이 반드시 대화와 협상을 통해 (북한 핵실험) 관련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며 “조선반도(한반도)의 평화·안정 수호와 조선반도의 비핵화 지속 추진이 당사국들의 공동 이익에 부합한다”고 강조했다.

중국이 이처럼 대북 제재보다 대화에 무게를 두고 나오면서 대북 제재 강화 방안을 논의하는 유엔 안보리 논의가 진통을 거듭할 가능성이 커졌다는 전망이 고개를 들고 있다.

한편 스기야마 국장은 뤄자오후이(羅照輝) 중국 외교부 아주사(司·국에 해당) 사장 등 중국 외교부의 다른 고위 당국자와도 만나 중국 군함의 사격 통제 레이더 조사 논란 문제를 포함한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열도 영유권 분쟁 완화 방안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스기야마 국장은 중국에 사격통제 레이더 조사 같은 도발적 행위를 자제할 것을 촉구했지만 중국은 이런 일본의 주장을 정면 부인하면서 양측이 뚜렷한 접점을 찾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중국 외교부는 스기야마 국장의 이번 방중을 비공식 방문으로 간주하면서 일본과 끝까지 신경전을 벌였다.

훙 대변인은 “스기야마 국장의 방중은 중국에서 열리는 일본의 내부 회의에 참석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훙 대변인은 스키야마 국장과 우 특별대표 간 회동을 ‘회담’이 아닌 ‘회견’이라고 규정했다. 중국의 외교 관례상 회담은 같은 직급 인물 사이의 정식 만남이지만 회견은 이보다 격이 낮은 만남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