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원자력협정 1~2년 연장론 ‘솔솔’

한·미원자력협정 1~2년 연장론 ‘솔솔’

입력 2013-03-11 00:00
업데이트 2013-03-11 00: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내년 3월 만료 시한 촉박…북핵·정상회담도 변수로

이미지 확대
재정부 ‘유엔 대북제재’ 시장 대응책 논의
재정부 ‘유엔 대북제재’ 시장 대응책 논의 지난 9일 오후 서울 중구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 제재 관련 시장점검회의에서 신제윤(오른쪽 두 번째) 기획재정부 제1차관이 실·국장들과 대응책을 논의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내년 3월 만료되는 한·미 원자력협정의 시한을 1~2년 이상 연장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양국 정부가 40년 만의 개정 협상을 사실상 올해 상반기까지 마무리해야 하는 촉박한 상황에다 양측 의견 차가 커 협상이 쉽지 않은 점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정부 고위 당국자는 10일 “새 정부 들어서 아직 한·미 간 첫 협의도 하지 못했다”며 “급하게 서둘러 양국 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건 안 되며 좀 더 대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는 개정 만료를 앞둔 원자력협정의 시한 연장 방안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

현행 원자력협정은 내년 3월 19일 만료되지만 양국 비준 일정을 감안하면 올 상반기에는 협상이 완료돼야 한다.

한국 측은 사용 후 핵연료 재처리권 및 저농축 우라늄 생산을 강조하고 있지만 미국 측은 핵 비확산 정책에 따라 재처리와 농축을 허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견지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 같은 양국 간 의견 차의 조율 필요성 때문에 시한 연장론이 불거지는 게 아니냐는 전망이다.

정부 내에서는 북핵 문제와 올 상반기로 예상되는 한·미 정상회담 일정도 변수로 여겨지고 있다.

이에 대해 외교부 관계자는 “한·미 원자력협정 시한을 연장하는 방안은 검토되지 않고 있다”면서도 “현재 양국 협의가 진행 중인 상황이며 새 장관 취임 후 관계 부처와의 긴밀한 협의를 통해 종합적인 협상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설명했다.

안동환 기자 ipsofacto@seoul.co.kr

2013-03-11 3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